'리눅스상대경로'에 해당되는 글 1건


  리눅스 기본 명령어 통해 상대경로/절대경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럼 순서대로 하나씩 차근차근 실습을 하면서 명령어를 익혀보세요

 

리눅스의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open in Terminal'을 클릭하고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된다
passwd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ls
ls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보는 명령어 입니다.
MS-DOS 의 DIR 명령어와 같은 개념이라 보시면 됩니다.


ls 명령에는 옵션이 따라 붙는데, 가장 많이 쓰는 옵션이 -a, -l, -h 입니다.
-a : 모든 파일의 리스트를 보기 위해 쓰는 옵션으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및 숨김파일까지 보여줍니다.
-l : 각각의 디렉토리나 파일의 정보를 함께 보여줍니다. 파일의 권한 및 소유자, 소유그룹, 용량 등을 보여줍니다.
-h : 파일의 용량을 보기 좋은 단위로 보여줍니다. 1967000000 Byte 대신에 1.9G 이런식으로 보여주는거죠.


-rw-r--r--    1 root      root                7.4G 2013-03-05 22:54 sda_disk.img
drwxrwxrwx  2 root      root                4.0K 2013-03-15 20:41 temp


출력결과를 볼 때 권한과 관련 된 부분은 가장 좌측의 열자리 입니다. 1/3/3/3 순으로 끊어서 보시면 되고,
제일 앞에 'd' 가 있는 경우는 디렉토리, '-' 가 있는 경우는 파일 입니다. 그 뒤의 9자리가 권한과 관련된 것입니다.


옵션을 한꺼번에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ls -alh 라고 한다면 모든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주는데, 자세한 정보와 함께 보기좋은 단위의 용량으로 리스팅 해줍니다.

cd
DOS에서의 cd와 같은 것입니다.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는 cd .. (한칸 띄워야 합니다) 이라고 해주면 되고, 루트로 가려면 cd / 이라고 해주면 됩니다.
root 아래의 pogodata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cd /pogodata 라고 해주면 되겠습니다.
하위 디렉토리로 갈 때는 cd 해당폴더명 이렇게 해주면 이동합니다.


pwd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 입니다.


mkdir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 입니다.
mkdir test 라고 하면 하부에 test라는 디렉토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mkdir /pogodata/movies 이런식으로 디렉토리를 만들어 줄 수도 있습니다.
유용한 옵션으로는 -m 옵션이 있는데, 퍼미션 까지 지정하여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mkdir -m 777 /pogodata/movies 라고 한다면, root 하부의 pogodata 하부에 movies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777 권한을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nano
텍스트 파일의 편집에 이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nano (편집할 파일명) 의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nano /etc/fstab 이런식으로 절대경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하는 위치에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파일을 생성하는 역할도 해줄 수 있습니다.


fdisk
fdisk (디바이스명) 으로 입력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파티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fdisk /dev/sda 라고 해주면
sda 에 잡혀있는 디바이스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스왑파티션의 설정도 가능합니다


-l 옵션을 추가하여 fdisk -l 이라고 해주면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여 줍니다.
chmod 777 /pogodata 라고 하면 /pogodata 디렉토리의 권한을 777로 설정해 주는 것입니다.
-R 옵션이 들어가면 하부 디렉토리까지 적용이 가능합니다.


chown
소유자나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chown pogo_user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자를 pogo_user 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chown :family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그룹을 family 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룹 이름 앞에 콜론을 찍습니다.
chown pogo_user:family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자, 소유그룹을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으며,
  소유자를 pogo_user 로 바꾸고, 소유그룹을 family 로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which
명령어 파일의 경로를 알려줍니다.
which (찾을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whereis
명령어의 실행파일위치, 소스위치, 메뉴얼 페이지 파일위치를 찾아주는 명령어로써,
명령어의 위치만을 찾아주는 which에 비해 포괄적인 명령어 입니다.
whereis (명령어) 의 형식입니다.


whatis
명령어의 역할을 간단히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whatis (명령어)


--help
명령어 뒤에 붙여주면 간단한 기능 및 옵션에 대하여 알려줍니다.
(명령어) --help 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man
명령어의 메뉴얼 파일을 보여줍니다.
man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며, 자세한 메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n rtmpdump > rtmp.txt 의 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rtmpdump 의 메뉴얼을 rtmp.txt 파일로 저장하여 줍니다.


| more
사용하는 명령 뒤에 붙여서 쓰는 것으로 more 앞에 있는 '|' 은 소문자 L이 아니라,
C:\> 에 사용되는 \ 문자와 같은 키 위에 있는 문자로 '쉬프트 + \' 로 입력하게 됩니다.
출력의 내용이 너무 길어 한페이지에 다 볼 수 없을 때 출력결과를 끊어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df (Disk Free)
df 명령은 디바이스의 용량 및 마운트 경로, 파티션 정보 등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h 옵션을 사용하면, Kilo, Mega, Giga 등의 보기좋은 용량으로 보여줍니다.


mkfs
mkfs -t [파일 시스템 타입] [디바이스명] 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일 시스템을 작성하고 포멧을 해줍니다.
mkfs -t ext3 /dev/sda (mkfs.ext3 /dev/sda 라고도 쓸 수 있습니다.) 라고 한다면
/dev/sda 디바이스를 ext3 파일 타입으로 포멧하겠다는 뜻이 됩니다.


fsck
fsck -t [파일 시스템 타입] [디바이스명] 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손상 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fsck -t ext3 /dev/sda 같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운트를 해제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fsck.ext3 /dev/sda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ptime
시스템의 부하율을 보여줍니다.
12:54:21 up  3:28,  2 users,  load average: 0.00, 0.03, 0.04
이런 형식으로 출력되며
맨 끝의 3개의 숫자들은 지난 1분, 5분, 15분동안의 시스템 부하율을 각각 평균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top, htop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명령입니다.


free
메모리의 사용현황을 보여줍니다.


tar
묶을 때 : tar cvfz (압축파일.tar.z)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풀 때 : tar xvfz (압축파일.tar.z)


옵션
c :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 tar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 (압축하지 않고 묶기만 하는 것)
f : tar파일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포함
v : 파일들의 내용을 보려고 할 때 사용
x : 묶인 파일을 다시 풀어줄 때
z : 압축과 관련 된 옵션 (z 옵션이 들어가면 파일 확장자가 tar.z 가 되고, z 옵션이 없으면 tar 가 됩니다)


halt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halt 명령 후 10초 정도 지나면 usb의 led 가 깜빡거리다가 꺼지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후에 플러그를 빼주시는 게 좋습니다.


reboot
시스템을 재부팅 합니다.


* 파일의 삭제, 복사, 이동 등의 명령어는 왠만큼 FTP 클라이언트로 대체 가능하여 제외 하였다.
 
리눅스의 기본 파일 시스템 및 계층구조
1. 파일시스템(/)
'/'은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로 리눅스의 모든 디렉터리들의 시작점이다.
2. /boot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존재하는 디렉터리이다.
3. /bin
기본적인 명령어(실행파일)가 저장된 디렉터리이다.
4. /dev
시스템 장치(device)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이다.
5. /etc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서비스)이다.
6. /home
일반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생성 위치이다.
7. /lib
커널모듈파일과 라이브러리파일(언어소스파일)들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8. /lost+found
파일시스템마다 존재할 수 있는 디렉터리로 파일시스템 체크(점검) 및 복구 유틸리티 실행 후 주로 생성되는 것이다.
9. /media
로컬 장치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10. /mnt
원격 장치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11. /proc
가상화 파일시스템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커널, 프로세스등)
12. /root
루트(root)의 홈 디렉터리이다.
13. /sbin
시스템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root 만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14. /tmp
임시저장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 일명 "공용디렉토리" .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15. /usr
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터리이다.
16. /var
시스템로그파일,메일파일등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로 시스템운용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디렉터리이다.
이렇듯 리눅스의 계층구조는 최상위 디렉터리 '/' 아래로 'boot', 'bin', 'dev', 'mnt', 'sbin' 그외 여러 하위 디렉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