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헷 리눅스 계열의 프로그램에서vi 에디터 사용법
vi에디터는 윈도우의 텍스트처럼 문서를 편집하는데 쓰이는 프로그램이다.
vi에디터를 사용하기 전에는 cat 으로 파일을 만들어 편집하고 했는데 cat만을 사용하면 기존에 작성하던 파일의 내용을 볼 수가 없었고 중간에 수정할 수도 없었는데 vi에디터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파일 편집을 할 수가 있다.
vi에디터는 밑에 그림처럼 크게 3가지 모드로 나눌수가 있다.
vi에디터를 "vi 파일명 " 으로 실행하게 되면 처음엔 '명령모드'가 나올 것이다. 이는 해당 파일을 볼 수는 있지만 수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파일을 수정하기 위한 모드인 입력모드로 들어가는 방법과 수정 후 그 파일을 저장할 실행모드가 필요하다.
처음 명령모드에서 i를 입력하면(그림처럼 a또는 o를 입력해도 상관없음 보편적으로 i를 사용함)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바뀌게되며 이때부터 파일을 마음껏 편집할 수 있다. 편집을 마친후 해당 파일을 저장하거나 혹은 그냥 저장하지않고 나오려면 ESC를 눌러 명령모드로 이동후 다시 실행모드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때 실행모드로 이동하기 위해서 ESC-> : 를 입력하면 실행모드로 바뀔것이다.
: 입력후 저장하려면 w를 누르고 그냥 나오려면 q를 입력하면된다. 혹은 이명령어를 조합해서 저장후 종료를 원할땐 wq를 입력하면 될 것이다. 리눅스는 명령어들의 조합이 가능하니깐 이점을 항상 숙지하고 있어야한다.
명령모드에서 커서를 방향키로 이동시킬수 있다. 혹시나 모르실까봐 말씀드린다.
명령모드에서 사용할 인자값들은 i 이외에도 몇개가 더있지만 사용법은 위에서 설명한 형식과 동일하다. 간단하게 종류만 가르쳐 주겠다.
'dd' 커서 위치의 한 행을 삭제
'yy' 커서 위치의 한 행을 복사 dd와 yy는 앞에 숫자를 넣고 사용하면 해당 숫자의
'p' 복사한 내용을 커서 위치에 붙여넣기 줄만큼 실행된다. ex) 50dd -50줄을 삭제
'u' 되돌리기
Tip. 강제로 종료 혹은 강제 종료후 저장과 같이 강제의 의미를 넣기위해서는 !를 뒤에 붙이면된다.
리눅스에는 Redhat 계열과 Ubuntu 계열이 있다. 이 둘은 서로 다른 명령어가 몇가지가 있는데 이중에서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이 다르다. Redhat계열은 yum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지만 ubuntu계열은 apt-get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저는 두가지 os를 사용하지만 학원배우는 내용은 centos이기 때문에 Redhat계열의 명령어만 설명하겠다.
프로그램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rpm이라는 걸 알아보자.
rpm이란 (Redhat Packege Manager)의 줄임말로 윈도우의 setup.exe 와 비슷한 역활을 한다.
확장자는 .exe가 아니라 .rpm이다.
rpm 명령어로 설치가 가능하지만 이 명령어는 설치중일때 계속 설치여부의 확인을 계속 물어보기 때문에 그많은 여부를 확인하기 귀찮아서 yum이라는 간편하고 실용적인 명령어만 알아보겠다.
rpm명령어 중 알고있으면 좋은 명령어는 'rpm -qa 패키지이름 ' 을 사용하면 해당 패키지가 컴퓨터에 설치가 되어 있느니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find 명령어처럼 검색한 이름과 똑같은 이름만 찾아서 보여준다.
바로 yum을 설명하겠다. yum명령어를 사용하기전 확인해야할 것은 컴퓨터가 인터넷과 연결되있는지의 여부와 설치하고자하는 패키지의 이름을 정확히 알아야한다는 것이다. 물론 rpm도 마찬가지겠지만말이다.
명령어는 'yum install -y 패키지이름' 이다. 중간에 y 인자값은 설치중 간혹?나오는 설치여부를 묻는 질의에 항상 yes를 적용하겠다는 인자값이다.
'yum update 패키지이름' 은 해당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는 것이다.
'yum remove 패키지이름' 은 해당 패키지를 삭제해버리는 명령어이다.
'프로그래밍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스크 RAID 구성 종류 (0) | 2018.03.14 |
---|---|
[Linux] 리눅스 런레벨 이해하기 (0) | 2018.03.14 |
쉽게 설명한 VI 에디터 명령어 (0) | 2018.01.27 |
리눅스 vi 편집기 사용 방법 (0) | 2018.01.27 |
리눅스 기본 명령어- 2 (0) | 2018.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