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프레스 수동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자동으로 설치하며 덮어쓰기 가된다

대부분 호스팅회서에서 자동설치하게 해 주는데 ; 언제 수동설치를 해야하는가

하나의 웹사이트에 여러개 의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연습용으로사용할 때

수동설치한다 

루트디렉토리에는 정상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운영하고

서브디렉토리에는 워드프레스를 여러개 설치해서 사용한다 (테스트용으로 사용한다 )

이럴때는 수동설치를 해야한다

자동설치를 두 개 하면 덥어쓰는 경우가 있다 / 데이터 베이스를 두 개 만들지 않고

기존에 것을 덮어 쓰기 때문에 기존에 작업했던 것들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러면 오늘은 워드프레스 수동설치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전 워드프레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www.wordpress.org에서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 합니다.

본격적으로 데이터 베이스 정보입력을 해야합니다.

웹사이트 정보를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 프로그램 다운로드

wordpress.org (설치형)

wordpress.com (가입형) (설치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기능이 많이 제한적이다  

설치형 다운로드 받는 절차 (영문판/한국어/가능) 다운로드 받아 압축 풀고 

파일질라 ftp르로그램을 다운 받아 사용한다.

루트디렉토리에 저장 ?

폴더를 업로드하면 서브디렉토리 가 만들어 지기 때문에

플어서 www폴더에 워드프레스 내에 있는 파일들을 업로드한다. 

( 폴더로 업로드 하면 파일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폴더를 업로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번에는 폴더째 업로드 해본다

폴더를 업로드하고 안에 있는 파일들을 복사해서 [www ]드렉토리로 옮기면 된다 

 

데이터 베이스 이름과 사용자 이름은 웹호스팅 가입시 테이터베이스 아이디(웹호스팅아이디)

사용자이름(id)와 같습니다.비밀번호는 mysql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데이터 베이스호스트는 localhost 그래도 두면 됩니다.

테이블 접두어는 워드프레스 설치시 마다 새로입력을 하게 된다 wp_ / 바꾸는 것이 보안상 좋다

전송하기 버턴을 클릭하면 됩니다.

1.데이터 베이스 이름:

2.데이터 베이스 사용자명

3.데이터 베이스 비밀번호:
4.데이터 베이스 호스트

5. 테이블 접두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워드프레스을 운영할 경우) 

하단에

Let’s go 눌르며 / 데이터 베이스 상세입력창이 뜹니다.

새로운창이 뜨는데 

파일을 모두 업로드 했다면

웹브라우저를 열어서 워드프레서 설치한 주소를 입력해 본다

첫화면은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하는 화면입니다.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누른다

사이트 제목 : IT 컴퓨터 정보

사용자명 : itworldkorea

이메일 주소 :

하단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턴을 누른다

 

 

워드프레스 관리자화면에 로그인 하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홈페이지나 블러그에 방문자의 편의를 위해서
지도를 넣어서 보여주면 찾아 오시거나 찾아갈 때
편리하겠죠 ! 외국여행할 때도 그지역의 지도를
보여 알려 주시면 편하겠습니다.
대부분 외국의 지도는 구글지도를 사용하는데
오늘은 홈페이지나 블러그에 구글 지도를 어떻게 삽입하는지
자세히 알라보겠습니다.

구글에서 구글지도검색하시고
왼쪽 상단에 검새에서


오늘은 서울시청을 찾아가실 수 있도록

구글지도로 서울시청 찾아가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청을 검색하시고

2번 고유를 클릭합니다.

공유를 클릭하면 링크공유와  지도퍼가기가 나타는데 지도퍼가기를 클릭해봅니다.

 

1번을 마치고 2번을 [중간]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해 보시면

 

원하시는 사이즈 크기의 지도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맟춤크기를 선책하시면 홈페이지 마다 크기가 자동으로 마추어 질 것 같군요

소스를 삽입할 때는 글쓰기 상단에 보시면 htlm이 있습니다.

이것을 체크하시고

지도를 넣을 곳에 커서를 놓고 붙어 넣으시면 됩니다.

아래는 맟춤크기로 800*600입니다

=====================================================

 

 

===============================================================================

아래는 첫번째 있는 <작게> 사이즈입니다.

===============================================================================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워드프레스를 배워야 하는 이유가 있다

홈페이지 구축으로 할 때 브라우저(크롬, 익스프롤러, 파이어폭스 등)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같은 페이지를 보여주며, 수많은 기기의 해상도 (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여러가지 버전의 폰 )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으로 아름답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사용방법

1) 컴퓨터에 가상서버를 두고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 [ 비추천 ]

2) http://wordpress.com 에 들어가서 네이버, 티스토리 가입하듯이 가입해서 사용하는 방법 ( 이렇게 하면 수만개에 달하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

3) 결국 http://wordpress.org 에 들어가서 설치형 zip 파일을 다운받아 자신의 서버 ( cafe24, whois, kt-cloud 등의 호스팅 구매비 발생 )에 넣고 설치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는 5분안에 끝나는 간단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홈페이지 안에 원하는 기능을 넣고 테마를 변경하고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과 실습이 필요합니다.

 

 블로그를 하는데 있어서 워드프레스는?

나의 글이 네이버에 상위노출되기 위하여 워드프레스 설치를 한다라면 아직은 시기 상조입니다. 현재 워드프레스는 네이버 상위노출에 잘 적용되고 있지 않습니다만, 티스토리 처럼 타 블로그가 그랬듯이 언젠가는 확장될 여지가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 노출되기 위하여 설치를 한다라면 워드프레스의 검색엔진최적화 기능이 정확하게 작용을 할 것이기에 추천합니다.

홈페이지를 만드는데 있어서 워드프레스가 꼭 필요한 이유는 ?

장점을 보면 하나 만들어 놓고 테마만 변경하면 순식간에 다른 홈페이지로 변화합니다.

기업용 홈페이지의 경우 1~3천만원 또는 3~5천만원의 비용을 투자하여 만듭니다. 그리고 오래도록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으면 멈춰버린 기업처럼 보이기에 홈페이지 리뉴얼 비용에 똑같은 비용을 지불하는 행위를 반복합니다.

 

또한 반응형 홈페이지로 어디에서든 이쁘게, 멋지게, 잘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아이폰, 갤럭시s4, 아이패드, 넥서스10 등 각각 수십가지의 해상도를 지닌 기계들이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그럴텐데 나중에 다른게 대세가 되면 그것에 맞추어 다시 홈페이지를 개발할 생각이십니까? 워드프레스는 한번의 구성으로 모든 것을 충족시켜줍니다.

 

그렇다면 반응형 홈페이지란 어떤 것일 까요

검색엔진 최적화 (SEO)를 통해 구글과 빙등 외국인들에게 노출을 시켜줍니다.

다 아시다 싶이 네이버는 우리나라에서나 독보적인 존재입니다. 외국의 유저들이 여러분에 홈페이지에 오게 만드려면 여러분의 기업의 글들이 구글에 검색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시고 게시나요?

플러그인 & 플러그인 & 플러그인 테마 & 테마 & 테마 / 무슨말이냐하면 정말 생각할수도 없는 많은 기능들이 각 나라의 개발자로부터 개발되어지고 있습니다. 비록 한국형 게시판 플러그인이 약하긴 하지만 이러한 플러그인과 테마 구축을 잘하는 사람은 워드프레스 전문가로서 각광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 것말고도 장점이 더 많이 있겠지만 일단 이것부터 알고 시작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은 해소되리라 봅니다.

 

 워드프레스는 중학생도 한 달 동안의 교육만 있으면 수준급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일단 설치해 보시고 계속 공부해 보세요 !!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애드센스로 광고를 넣고 수익을 창출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광고를 어떻게 배칭하느냐고 중요합니다.
지난 시간에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프러그를 통해서 상단 한 개 / 하단 한 개/ 상단과하단 각각 1개식 두개를
넣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광고를 내가 넣고 싶은 곳에 넣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그런데 설정에서 수익플러그인을 이용하시면 본문의 상단하고 하단밖에는
광고를 넣을수없습니다. 그런데 여러블로그를 돌아다니다보면 내블로그와는
다르게 본문중간에도 광고를 노출시키는것을 본적있으실겁니다.
이것은 '서식'을 이용해서 광고를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광고단위에서 반응형으로 새광고단위를 만드시는법은
지난 번에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링크광고를 만들어서 사용하는내용을 설명드립니다.
 내광고-새광고단위에서 권장크기를 클릭하시면 맨밑으로 '링크광고'라는 광고크기가나옵니다.
선택하시고 저장및 코드 생성하시면 코드를 받으실수있습니다. 
 


 

 


저장하신 스크립트코드를 가지고 티스토리 블로그에 '서식'이용해서 본문에 사용해보겠습니다.
티스토리 설정으로 가시면 아래와같이 관리창밑으로 글쓰기를 클릭합니다.


 
 글쓰기에서 제목옆으로 서식을 선택해주세요. 
 

 
제목밑줄 가장오른쪽 HTML도 선택해주세요. 
  

 

광고단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아래의 코드에 <script>부분만 붙여넣기해주세요.
(본인의 ca-pub와 slot값을 입력하셔야됩니다^^)
 
<CENTER>
<P>&nbsp;<P>
<script async 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 티스토리 본문중간 -->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client="ca-pub-본인의 번호를 입력하세요"
     data-ad-slot="본인의 번호를 입력하세요"
     data-ad-format="link"></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P>&nbsp;</P>
</CENTER>
 

  
'발행'을 하면 서식이 완성된걸 볼수있습니다 :)
 이제 발행이 되셨다면 

글쓰기할 때 불러와서 광고를 삽입만 하시면 되겠군요

삽입할 때는  글을 작성하실  때 

광고를 삽하고자 하는 부분에 커서를 놓고 아래 

 

서식에서 봅시면 [본문중간광고] 클릭을 해 주시면

본분의 커서가 움직이는 것을 보시게 될 건데요

커서 움직여 위치가 변하면 그 부분에 광고가 삽이도었다는 것입니다.

html소스보기를 해서 보실 수 있고

[미리보기] 창을 열어 보시면 광고가 나타게 될것입니다. 

이런식으로해서 본문에 반응형으로 '디스플레이광고'와
'링크광고'를 동시에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요즘 크롬으로 인터넷을 들어가 면 자주 쿠키를 삭제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갑자기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도 있고요 그래서 쿠키를 삭제하고 나니

잘되더 군요 오늘은 구글 쿠기 삭제 방법을 포스팅합니다.

해보니 너무 간단하더라구요

구글 크롬 쿠키삭제 방법 너무 간단하다 !!

먼저 크롬 브라우저을 열어봅시다.

그리도 열려으면 키보드 단축키 Ctrl+Shift+Del을 누릅니다.

 

 

단축키 Ctrl+Shift+Del 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창이 열리죠 !

 

 

다음 항목 삭제를 '전체' 혹은 원하는 기간으로 선택한 후, '쿠기, 기타 사이트 및 플러그인 데이터' 항목에 체크를 한 다음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클릭한다. 쿠키 외에 삭제를 원하지 않는 항목은 체크를 해제해도 좋습니다.

인터네 사용 기록 삭제 즉시 쿠키 삭제가 진행되며 곧 바로 완료됩니다.

 

간단하죠 !

구글 크롬 쿠기 삭제 정보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ASP.NET Core 과 Asp의 차이 ?

클라우드 기반 웹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오픈소스로 새롭게 개발된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다

온프레미스 환경에도 배포하여 수행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기 위한 최적화된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서 완전히 새롭게 개발

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는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 된 서버팜이나 클라우드 등의 원격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에서 일하는 직원 또는 단체에서 설치,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on-prem software(온프렘 소프트웨어) 또는 on-premise software(온프레미스 소프트웨어)라고 줄여서 쓰기도 하며 shrinkwrap software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버헤드를 최소화한 모듈화된 컴퍼넌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솔루션 구성시에 유연성을 유지

윈도우, , 리눅스에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ASP.NET Core를 만들었는가?

아키텍쳐 변경을 통해 군더더기 없이 모듈화된 코어(core) 웹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ASP.NET CoreSystem.Web.dll 에 더이상 기반하지 않고, 잘게 분리된 NuGet 패키지들에 기반해서 최적화된 개발가능) (응용프로그램이 필요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상 개선 효과가 있고, 서비스 하는 부담 또한 줄여준다)

(사용한만큼 지불하는(pay-for-what-you-use) 모델을 채택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의 성능이 개선)

ASP.NET Core에서 중대한 개선사항 포함

(새롭게 경량화되고 모듈화된 HTTP 요청 파이프라인)

(IIS 또는 개발자 자신의 프로세스에서 셀프 호스트할 수 있는 능력)

(닷넷 코어에 기반한 진정한 side-by-side 앱 버전 관리(versioning)) = 동일한 컴퓨터에서 여러 버전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구성 요소를 실행

(모든 기능이 NuGet 패키지 형태로 추가)

(NuGet 패키지들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것에 대한 통합된 지원)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웹 API를 위한 단일 웹 스택)

(클라우드를 위한 환경 기반 구성)

(내장된 종속성 주입 기능)

(모던 웹 개발을 단순화 시킨 새로운 도구들(tooling))

(윈도우, , 리눅스에서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크로스플랫폼)

(오픈 소스와 커뮤니티에 초점)

   

ASP.NET Core 특징

 

 

Kestrel 자체 웹서버 운용 가능

동적 컴파일

- 기존에는 빌드 하고 배포 했으나 에디터로 수정 가능함

의존성 주입 포함 - Startup.cs ConfigureServices에서 아래와 같이 트랜젝션 제어 주입이 가능함

- services.AddTransient<IService, Service>();

- services.AddScoped<IService, Service>();

- services.AddSingleton<IService, Service>();

Bower(정적파일 패키지 관리[jquery, angular, bootstrap 같은것 관리]), Gulp(빌드자동화), Grunt, NPM, Node.js, TypeScript, Yeoman 등 통합 가능

- 스크립트 압축, 빌드 자동화 등 커뮤니티 기반 웹개발 도구를 포함한다.

  

ASP.NET Core 몇가지 과거와 달라진 사용법

ViewEngine 커스터 마이징

Startup.cs -> ConfigureServices(IServiceCollection services)

services.AddMvc().Configure<MvcOptions>(options => { options.ViewEngines.Add(new MyCustomerViewEngine ()); });

MapRoute 커스터 마이징

Startup.cs -> Configure(IApplicationBuilder app, IHostingEnvironment env, ILoggerFactory loggerFactory)

app.UseMvc(routes => {routes.MapRoute( name: "default", template: "{controller=Home}/{action=Index}/{id?}"); });

BundleCollection 커스터 마이징

bundleconfig.json에 설정하여 사용

GlobalFilterCollection 커스터 마이징

services.AddMvc(options =>

{

options.Filters.Add(new AddHeaderAttribute("GlobalAddHeader",

"Result filter added to MvcOptions.Filters")); // an instance

options.Filters.Add(typeof(SampleActionFilter)); // by type

options.Filters.Add(new SampleGlobalActionFilter()); // an instance

});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인터넷과 공유기 IP 주소확인 방법

IP주소 확인방법 공유기 IP주소확인방법

사무실에서나 집에서 가끔 인터넷을  하다보면 본인의 컴퓨터나 핸드폰이 ip 주소를 확인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컴퓨터 ip주소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그러나 아피주소를 타인에게 함부로 알려주는것은 내 주민등록번호를 알려주는 것과 같이 위험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내 IP 주소를 알려 주면  편리하게 도움을 받을 수 도 있겠지만 아피주소를 아무에게나 알려주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이제 아이피주소를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작버튼을 누를 후 샐행을 클릭하거나 키보드버튼의 윈도우 키+R를 눌러서 CDM를 입력하면됩니다.

누르면 검정색 창이 뜨는 데 이것을 도스창 또는 커맨드 창이라고 하며 이곳을 보면 커서가 깜박깜박합니다.
여기에 ipconfig를 기입하고 엔터를 치면  창에 많은 글씨들이 나타나느데
명령프롬프트 아래 이미지 참조

 

위 이미지에서 보면 IPv4주소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본인의 컴퓨터의 IP주소 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NAVER에서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IP주소확인]이라고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아매의 이미지 처럼 나타면
아피주소 조회  그리고 이 컴퓨터의 IP주소는 *** *** *** *** 입니다 라고 나타납니다
이렇게 해서도 자신의 컴퓨터 IP주소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차이점을 말씀드리며
CMD 확인하는 방법에서는 모자이크를 살짝 덜한 부분이고
네이버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런데 CMD에서는 19**.로 시작하고 네이버는 11*.으로 시작해서 서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다른 컴퓨터로 한것이 아니라 공유로된 컴퓨터에서는 가상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19*.로 시작되는 주소가 CMD에서 나오는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가상이 아닌 진짜 내 컴퓨터의 ip 주소는 네이버에서 확인한 IP주소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다른 방법이 있는데 익스플로러을 키고 난후에 주소창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공유기의 설정화면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공유기가 할당 받은 공용 가상 IP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화면은 공유기 마다 다를 수 있기때문에  각자가 찾아보면 알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픽픽(PicPick)화면캡쳐  픽픽에디터

 

요즈음 컴퓨터의 이미지를 캡쳐한다든지 동영상을 캡쳐할 때가 많은데 이때 가장 간단하게 캡쳐를 할 수 있는

도구가 픽픽(PicPick)에디터 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프트웨어 그래픽 보조 도구인 컴퓨터화면캡쳐 프로그램을 픽픽 PicPick 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기업체 및 단체에 무료로 제공하는 소프트 웨어니까 안심하고 사용하세도 됩니다

픽픽 캡쳐메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영역을 지정하여 캡쳐하는 것인데

기본적인 방법으로 캡쳐하는 영역을 왼쪽에서 꾹 눌러 오른쪽 대각선으로 쭉 끌어 당기면 캡쳐가 됩니다.

캡쳐후에는 효과 ,선택 ,텍스트 ,스탬프 그리고 동그라미등 여러가지 툴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포토샆처럼 전경색과 배경색을 선택하고 뒤바굴 수 있게되어 아주 편리 합니다 .

그리고 강의를 하다보면 강의를 하다보면 컴퓨터 캡쳐를 하고 싶을 때가 많이 있고

한 장 아니라 여러 장 아니면 부분적 또는 스크롤 아래까지 캡쳐를 해고 싶을 때가 많았습니다 .

특히 키보드 F12 번 옆에 있는 Print Screen(프린트스크린 )키를 사용해서 캡쳐하고

그리고 그것을 그림판으로 가지고와서 작업을 할 때가 있었는데 픽픽을 사용하면

번거러운 그런 수고를 하지 않고도 한 페이지에서 모든 작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림판에서 처럼 글자를 지울려고 하면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다시 처음부터작업을 했었는데 픽픽은 여러 글씨체까지 제공해 주고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

쉽게 다운 받을 수가 있으며 Windows 10 을 포함한 모든 윈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을 실 수있습니다 .

공식 홈페이지는 http://ngwin.com/kr 이며 , 파일 사이즈는 12M 입니다

   

모든 사용자를 위한 그래픽 디자인 도구이며 강력한 화면 캡처,

이미지 고급 편집 , 화면 색상 추출 및 나만의 색상 관리 , 이미지 크기 및 각도 계산,

화면 그리기 도구 등 모든 기능을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통합하고 있습니다 .

아래 이미지는 상단의 메뉴바입니다.

 

 

각각의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강력한 화면 캡처 기능

화면 스크롤 캡처 , 전체 영역 , 선택 영역 , 활성화된 영역 , 고정된 영역 , 듀얼 모니터 캡처 등

2 .직관적인 이미지 편집 기능

그리기 , 자르기 , 삽입 (텍스트 , 화살표 , 도형 , 말풍선 , 스탬프 ), 형광펜 , 하이라이트 효과 등

3. 고급 이미지 효과 및 필터

그림자 , 테두리 및 액자 , 모자이크 , 워터마크 , 흐리기 , 반전 , 이미지 회전 , 크기 변경 , 밝기 조절 , 색상 및 채도 조절 등

4. 이미지 저장 및 공유 기능

다양한 형식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 , 프린터 출력 , URL 로 저장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 드롭박스 , 구글 드라이 브 , FTP 공유 등

5. 편리한 그래픽 편집 부가 기능

색상 추출 도구 , 색상 팔레트 , 눈금자 , 각도기 , 십자선 , 돋보기 , 화면 그리기 도구 등

6. 고급 사용자를 위한 상세한 부가 기능

사용자 친화적인 위젯 , 자유로운 단축키 설정 , 자동 저장 및 파일 이름 형식 지정 , 시작 모드 설정 등

   

위의 이미지을 보시면 전반적인 픽픽에디터의 기능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픽픽의 캡쳐 탭에서 캡쳐 결과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으로 지정해주며 자동 저장탭에서

자동저장 기능사용에 체크를 해주시고 폴더를 설정해주시면됩니다 .

캡쳐프로그램 픽픽으로 캡쳐를 할때마다 자동으로 저장이됨을 기억하시고

물론 캡쳐를 하고 이미지를 꾸미실거라면 굳이 이렇게 쓰실 필요는 없지만

간단하게 캡쳐해서 이미지 파일로 저장만 할 목적이라면 이보다 더 간단한 방법은 없는거같습니다 .

 

제가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이라서 인지 픽픽을 두 번이나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 없이 ai 파일 열기

 

그래픽 전문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벡터 프로그램 중 하나는 아마도 Adobe사의 Illustrator 일러스트레이터 일 것입니다.

포토샵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포맷 psd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많아졌지만, 일러스트레이터로 만들어진 ai 포맷은 아직도 바로 열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지 않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방법이 간단하게 ai 파일을 열어보고 활용할 수 잇는 방법에 대한 소개입니다.

 

ai 파일 확장자를 pdf로 변경해는 것입니다.

 

의외로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ai 파일을 열어볼 수 있습니다.

즉 이미지 파일 확장자인 aipdf로 변경하는 것 만으로도 쉽게 파일을 열어 볼 수 있습니다.

그럼-먼저 ai파일을 준비하셨다면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이름 바꾸기] - 확장자를 ai에서 pdf로 바꾸면 됩니다.

 

https://smallpdf.com/

 

smallpdf 사이트에서 파일 변환 후 사용가능합니다.

 

   

ai파일이 pdf로 변경되어 파일을 열어보는 것은 가능해졌으나, 파일을 활용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smallpdf.com 사이트를 이용하여 pdf 파일을 편집 가능한 파워포인트나 워드로 변경한 다음 사용하면 됩니다.

 

https://smallpdf.com/

 

pdf 파일을 ppt로 변환하여 로고 파일을 추출하실 수 있습니다.

 

 

로고 파일을 ppt로 변환 후 파일을 열어보면 (원인은 알수 없지만), 보이는 로고파일이 선택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때 [보기] - [마스터 보기] 그룹 - [슬라이드 마스터]를 선택한 다음, 왼쪽의 <슬라이드 마스터> 영역을 선택한 후에 로고 파일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개체가 모두 선택됩니다.

   

가능하면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본 파일에 따라 로고 파일의 조각이 많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가능하면 ai 파일은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소개한 방법은 아주 급할 때에 사용하는 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ai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오프소프 프로그램으로는 <잉크스케이프 Inkscape> 도 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inkscape.org/en/

그리고

아래 인포그래픽이의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s://namu.wiki/w/%EC%96%B4%EB%8F%84%EB%B9%84%20%EC%9D%BC%EB%9F%AC%EC%8A%A4%ED%8A%B8%EB%A0%88%EC%9D%B4%ED%84%B0

https://www.behance.net/gallery/25772653/Illustrator-Vs-Photoshop

더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위 링크를 클릭하세요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유용한 파워포인트 10가지 팁

 

1. 애니메이션 복사

 

작품의 이해를 돕기위해 사용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는 큰 도움이 되지만 파워포인트에서 애니메이션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 복사> 기능으로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복사 기능은 파워포인트 2010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사할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개체를 선택한 다음 [애니메이션] - [고급 애니메이션] 그룹 - [애니메이션 복사] 선택한 후 적용하고자 하는 개체를 선택하면 됩니다.

애니메이션 복사의 단축키는 [alt + shift + C] 입니다.

 

2. 슬라이드 쇼로 저장

 

파워포인트로 만든 수업 자료를 바로 슬라이드 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슬라이드 쇼로 저장된 파워포인트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하면 바로 슬라이드 쇼로 실행됩니다.

 

저장할 파일을 선택,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파일 형식을 [파워포인트 쇼]로 선택합니다. 파워포인트 쇼 파일 형식은 pptx로 저장됩니다.

 

3. 화면 확대 [Windows + "+"]

 

이 기능은 파워포인트의 기능이라기 보다는 Windows 7 이상부터 지원되는 Windows의 기능입니다. 슬라이드 쇼로 일반인들에게 내용을 보여줄 때 화면을 확대시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됩니다.

때로 그래픽 카드 속성으로 인하여 <전체 화면> 확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Zoom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면 확대를 할 수 있습니다. https://technet.microsoft.com/en-us/sysinternals/zoomit.aspx

ZoomIt

technet.microsoft.com

Zoomit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파워포인트 2013의 발표자도구 기능에서 확대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발표자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빔프로젝터 연결 후 모니터 확장 기능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4. 슬라이드 첫 화면으로 돌아가기 : 마우스 오른쪽 + 왼쪽 버튼 2초 간 누르기

발표 도중 또는 발표 마지막 슬라이드에서 맨 처음 슬라이드로 돌아가기 위해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는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과 왼쪽 버튼을 동시에 2초 간 누르면 됩니다.

슬라이드 쇼 도중 특정 슬라이드 페이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쇼 상태에서 <해당 페이지 번호 + 엔터>를 입력하면 입력한 페이지 번호로 이동합니다. 키보드에 [Home] 버튼이 있다면 슬라이드 쇼 도중에 누르면 맨 첫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슬라이드 쇼 재구성

이미 만들어진 파워포인트의 순서를 편집하지 않고, [슬라이드 쇼 재구성] 기능으로 슬라이드 쇼를 임의의 순서대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슬라이드 쇼] - [슬라이쇼 시작] 그룹의 [슬라이드 쇼 재구성]을 선택하여 <쇼 재구성>에서 슬라이드를 생략할 수도 반복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6. 슬라이드 다시 사용

슬라이드를 만들 때에 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보다 이전에 작업한 슬라이드를 다시 수정/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때 이전 슬라이드를 복사/붙여넣기로 현재 작업 중인 슬라이드에 사용하게 되는데 복사/붙여넣기 시에 서식이 깨지거나 (파워포인트 버전이 다를 경우)그림형태로 붙여넣기가 되는 경우도 발생됩니다.

 

[] - [슬라이드 쇼] 그룹의 [새 슬라이드] 아래의 펼치가 화살표를 선택한 다음, [슬라이드 다시 사용]을 선택합니다.

오른쪽 [슬라이드 다시 사용] 창에서 [찾아보기] 버튼 - [파일 찾아보기]를 차례로 선택하여 다시 사용할 슬라이드를 불러옵니다.

[슬라이드 다시 사용] 창에 미리 보기 형태로 다시 사용할 슬라이드가 보여지며, 원하는 슬라이드를 선택하면 삽입 됩니다. 이 때 삽입되는 슬라이드는 현재 작업 중인 슬라이드의 테마로 변경되기 때문에 원본을 유지하여 삽입하고 싶다면 [슬라이드 다시 사용] 창의 맨 아래 <원본 서식 유지>를 체크하고 슬라이드를 선택하여 삽입하면 됩니다.

 

7. 그림 배경 제거

 

파워포인트 2010 버전부터 탑재된 <그림 배경 제거> 기능이지만, 아직도 파워포인트에서 그림 배경 제거가 된다는 것을 모르는 분들이 상당한 듯 합니다.

삽입된 그림을 선택 후 [그림 도구] -[서식] - [조정] 그룹 - [배경 제거]를 선택합니다.

 

자동으로 제거될 영역을 보라색으로 표시해줍니다. [배경 제거] 탭의 세부 기능으로 남길 부분을 선택하거나 추가로 제거할 부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배경 제거가 완료된 그림입니다.

 

8. 스마트 아트의 그림 레이아웃

파워포인트에서 그림을 빠르게 배치하려고 할 때 <그림 레이아웃> 기능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삽입 한 그림을 모두 선택 후 [그림 도구] - [서식] - [그림 스타일] 그룹의 [그림 레이아웃]을 선택합니다.

 

** 삽입한 그림 레이아웃을 그룹해제하여 도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9. 도형 병합

도형 병합 기능도 파워포인트 2010 버전부터 제공되고 있었습니다. (, 세이프 병합이라는 이름으로 기능이 제공되고 있었으며, 기본 도구 메뉴에 표시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도형을 여러가지 모양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2013 버전부터는 그림과 도형 간 병합 기능도 지원됩니다. 그림과 도형을 함께 선택한 후 [그리기 도구] - [서식] - [도형 삽입] 그룹 - [도형 병합]을 선택합니다.

[도형 병합]에서 [빼기]를 선택하면 아래 그림 처럼 그림과 도형이 완전히 겹치는 부분만을 남기게 됩니다.

 

10. 윈도우 모바일 센터의 [프레젠테이션 설정]

 

이 기능 역시 파워포인트 기능이 아니라 윈도우에서 지원되는 기능입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윈도우 XP에서도 지원하던 기능이었습니다.

윈도우 8.1과 윈도우 10에서는 Windows + X를 눌러 [모바일 센터]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센터]에서 [프레젠테이션 설정]을 켜기 상태로 해두면, 슬라이드 쇼 도중에서 윈도우의 여러가지 알림 기능, 즉 메신저 도착, 메일 도착 등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슬라이드 쇼 도중에 친구에게서 개인적인 메신저가 도착되는 황당함을 잠시 꺼둘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내용의 대부분이 기본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쇼를 많이 사용하는 분들께는 크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본문 내용은 원문과 차이가 납니다. 원문 내용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립니다.

 

위 내용은 https://tekhnologic.wordpress.com/2016/04/25/10-more-powerpoint-tips-for-teachers/ 에 소개된 내용이며, 제 블로그에서는 간단한 내용과 함께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여 소개합니다. 보다 자세한 부분은 원문을 반드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