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여백설정하기

CSS margin속성은 요소 주위에 공간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margin속성은 경계 외부의 공백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CSS를 사용하면 여백을 완전히 제어 할 수 있습니다. 요소의 각면 (위, 오른쪽, 아래 및 왼쪽)의 여백을 설정하기위한 CSS 속성이 있습니다.
여백 - 개별면
CSS에는 요소의 각면에 대한 여백을 지정하는 속성이 있습니다.
margin-top
margin-right
margin-bottom
margin-left
모든 margin 속성은 다음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auto - 브라우저가 여백을 계산합니다.
length - px, pt, cm 등의 여백을 지정합니다.
% - 포함하는 요소의 너비에 대한 여백을 %로 지정합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에서 여백을 상속해야한다고 지정합니다.
팁 : 음수 값이 허용됩니다.
다음 예제에서는 <p> 요소의 네면에 대해 서로 다른 여백을 설정합니다.

p {
    margin-top: 100px;
    margin-bottom: 100px;
    margin-right: 150px;
    margin-left: 80px;
}
 

 
여백 - 속기 속성
코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속성에 모든 여백 속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margin속성은 다음과 같은 개별 여백 속성에 대한  속성입니다.
margin-top
margin-right
margin-bottom
margin-left

p {
    margin: 100px 150px 100px 80px;
}

그래서, 그것이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rgin속성에 4 개의 값 이있는 경우 :
여백 : 25px 50px 75px 100px;
상단 여백은 25px입니다.
오른쪽 여백은 50 픽셀입니다.
하단 여백은 75px입니다.
왼쪽 여백은 100 픽셀입니다.
시작은 위에서 오른쪽 아래 왼쪽으로 진행됩니다.
margin속성에 세 개의 값 이있는 경우 :
여백 : 25px 50px 75px;
상단 여백은 25px입니다.
오른쪽 및 왼쪽 여백은 50 픽셀입니다.
하단 여백은 75px입니다.
margin속성에 두 개의 값 이있는 경우 :
여백 : 25px 50px;
상단 및 하단 여백은 25px입니다.
오른쪽 및 왼쪽 여백은 50 픽셀입니다.
margin속성에 하나의 값 이있는 경우 :
여백 : 25px;
네 가지 마진 모두 25 픽셀입니다.
자동 가치
margin 속성을 설정하여 auto컨테이너 내에 요소를 가로로 가운데 놓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요소가 지정된 폭을 차지하고 나머지 공간은 왼쪽과 오른쪽 여백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할됩니다.

div {
    width: 30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red;
}
 

 
상속 된 값
이 예에서는 부모 요소에서 왼쪽 여백을 상속 할 수 있습니다.

div.container {
    border: 1px solid red;
    margin-left: 100px;
}
p.one {
    margin-left: inherit;
}
 

 

여백 축소
요소의 위쪽 및 아래쪽 여백은 두 개의 여백 중에서 가장 큰 것과 동일한 단일 여백으로 축소됩니다.
이것은 왼쪽과 오른쪽 여백에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위쪽 및 아래쪽 여백 만!
다음 예제를보십시오.

h1 {
    margin: 0 0 50px 0;
}
h2 {
    margin: 20px 0 0 0;
}
 


위의 예에서 <h1> 요소의 하단 여백은 50px입니다. <h2> 요소의 상단 여백은 20px로 설정됩니다.
상식적으로는 <h1>과 <h2> 사이의 수직 여백이 총 70px (50px + 20px)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마진 붕괴로 인해 실제 마진은 50px가됩니다

-----------------------------------------------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동영상 제작을 위한  동영상녹화 캡처 프로그램 소개


요즈음 동영상 녹화 캡처하는 분들이 많은데 오늘은 제가 사용하는 동영상 캡처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강의 녹화용으로 추천할만한 프로그램 반디캠입니다 비슷한 프로그램으로는 Camtasia나 Fraps와 같은 외국산 프로그램이 있지만 그 중에서 국산 프로그램인 반디캠이 제일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반디캠은 화면의 일부분이나 또는 전체를 동영상으로 녹화를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녹화를 하면서 음성도 같이 녹음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컴퓨터로 강의를 만든다거나 또는 게임 동영상을 만들 때 좋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것은 반디캠은 영상과 소리의 싱크가 밀리는 일이 없으며 예전에 캠타시아로 비슷한 시도를 해본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영상이 소리에 비해 계속 늘어져서 싱크가 잘 맞지 않았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일단 반디캠을 실행한 첫 화면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여기에서는 녹화대상과 밑에 있는 녹화 자동 완료의 설정 부분을 눈여겨 보시고 천천히 따라하시면 됩니다.
 


 녹화 대상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DirectX/OpenGL 창을 녹화하는 메뉴와 화면의 사각형 영역을 잡는 메뉴.. 이렇게 두 가지고
나타납니다 첫 번째 DirectX/OpenGL은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게임의 화면을 영상으로 캡쳐를 하고 싶을 때 사용을 하면 됩니다
그 밑에 있는 화면의 사각형 영역은 화면의 특정 부분만을 캡쳐를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동영상 강의를 만들 때 참 유용할 것입니다. 아니면 인터넷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지는 동영상을 녹화 할 때도 유용하겠고요
  

 
그 밑에 녹화 자동 완료 설정 부분을 클릭 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 메뉴가 뜹니다.  녹화 자동 완료 조건은 시간 제한, 또는 용량
제한으로 특정 조건이 되면 녹화를 자동으로 종료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 밑의 메뉴는 녹화를 자동으로 완료한 후에 어떤 명령을
실행을 할 지를 정하는 것이고요
 
 
저는 녹화는 14분이 되면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설정을 해 놓았고, 녹화가 종료되면 새로 녹화를 시작 하도록 설정을 해 놓았습
니다.. 이렇게 설정을 한 이유는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기 위해서인데요.. 유튜브는 일반 사용자의 경우 15분 이상 되는 영상은
올릴 수가 없습니다. 강의 같은 것을 올릴 때 유튜브를 이용을 하는데..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기 위해서는 15분을 넘으면 안 되거
든요 위와 같이 모든 영상을 14분 단위로 잘라버리면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기가 편하겠지요.. 그리고 영상을 종료 한 후에는
바로 녹화를 시작을 해서 영상이 중간에 끊기지 않도록 해야 할테고요
 
 


 
FPS 표시 보이기는 캡쳐하고자 하는 대상의 화면에 현재의 프레임 수를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반디캠을 띄운 상태에서 게임을
한다든지 또는 동영상을 본다던지 하면 화면에 30, 29.97 이런 식으로 숫자를 찍어내게 되는데 그것이 현재의 프레임 수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특별한 기능은 없고 그냥 단순히 현재의 프레임 수만을 표시하는 단순 정보입니다.. 이 프레임 수는 캡쳐된 결과
물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밑에 있는 라디오 버튼들은 FPS가 화면의 어디에 나타나게 할 지를 설정합니다.. 현재는 화면의
왼쪽 위 귀퉁이에 FPS가 표시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다음 프레임 부분에서는 오른쪽 밑의 FPS 제한하기 부분을 잘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영상이 30 프레임을 넘어가지
않으니 되도록이면 30 프레임으로 제한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이 프레임이 많아지면 반디캠으로 녹화 한 영상과
음성의 싱크가 서로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프레임을 적당히 조절해주어야 영상과 음성의 싱크가 맞습니다.
  

 
다음은 비디오 부분입니다.. 이 메뉴에서는 세 가지를 설정을 해 주어야 하는데요.. 먼저 녹화 단축키를 설정을 해 주어야 겠지요..
단축키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키로 설정을 해 주면 됩니다.
가운데 있는 "커서 표시 안함" 메뉴는 아마도 게임 동영상 등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이 될 것 같군요.. 이 메뉴의 경우 왼쪽의
체크박스를 체크했을 경우 캡쳐된 영상에는 사용자의 커서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 다음에 왼쪽의 설정 메뉴는 녹음을 할 때 사용을 할 음성 장치를 선택하는 메뉴이고 오른쪽의 설정 메뉴는 녹화 할 때 사용할
코덱과 관련된 내용을 세팅하는 부분입니다.
  

 
먼저 왼쪽의 설정을 클릭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위의 기본 오디오 장치에는 자신의 컴퓨터의 기본 사운드 출력
장치를 잡습니다.. 게임 동영상을 녹화를 하고 싶은 분들의 경우 게임에서 나오는 음악 및 효과음을 같이 녹음을 하고 싶다면
반드시 컴퓨터의 기본 사운드 출력 장치를 설정을 해야 되겠지요..
그리고 그 밑에 추가 오디오 장치에는 마이크 장치를 설정을 합니다.강의를 하고 싶다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을 해야 되겠
지요.. 목소리를 녹음하려면 마이크 장치가 있어야 할 테고 말이지요. 여기에서는 그 마이크 장치를 설정을 합니다..
만약 강의만을 주 목적으로 한다면 구지 컴퓨터의 소리를 녹음을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겠네요.. 그런 경우에는 기본 오디오
장치에 마이크 장치를 잡아주고 추가 오디오 장치는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을 하면 될겁니다.
 
 


 
오른쪽의 코덱 관련 설정을 누르면 위와 같이 코덱과 관련된 설정이 나옵니다.. 흠.. 이것 저것 해 보았는데... 위와 같이 세팅을
하는 것이 최선인 듯 합니다.. 여기는 위와 동일하게 세팅을 해 주세요.
먼저 비디오 크기는 임의의 고정된 크기를 선택을 할 수도 있고 전체 크기를 선택을 할 수도 있는데 그냥 전체 크기로 둬도 되지
싶습니다.. FPS는 29.97이나 30으로 설정을 하는 것이 화질이 깨끗하게 나올겁니다. 압축 형식은 반디캠 MPEG-1, XviD, Motion
JPEG, YV14, RGB24등이 있는데요 뒤에 있는 YV14와 RGB24는 뭔지 잘 모르겠고 MPEG-1, XviD, Motion JPEG 이렇게 세 가지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을 하게 될텐데 XviD는 화질이 깨끗하게 안 나오더군요.. Motion JPEG는 깨끗하게는 나오는데 동영상의
파일 크기가 너무 커지게 되고요.. 유튜브에 올릴 정도의 화질을 원한다면 반디캠 MPEG-1이 제일 괜찮은 것 같습니다.
혹시 프리미어나 베가스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을 하셔서 편집할 전문적 동영상 소스를 만들기를 원하신다면 Motion JPEG을
사용을 하시면 됩니다.
품질은 반디캠 MPEG-1 기준으로 80으로 설정을 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화질도 깨끗하면서 영상 크기도 적당하게 나옵니다.
이 이하로 낮아지면 화질이 아쉬워지고 이 이상이 되면 동영상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집니다.
기타 더욱 자세한 사항은 반디캠의 홈페이지에 어느 정도 설명이 되어 있군요
 
밑에 오디오의 비트레이트는 160으로 설정을 해 놓았는데 128 정도로 낮춰도 되고 또 192 정도로 높여도 관계는 없습니다.. 
  

 
이미지 캡쳐 설정 부분입니다.. 저는 이미지 캡쳐는 Snagit을 사용을 하는 관계로 반디캠의 이미지 캡쳐기능은 사용하지 않습
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싶으실 때는 단축키 왼쪽의 체크박스를 체크해 주시고 단축키를 설정하시면 되고 사용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단축키 오른쪽 체크박스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만일 이미지 캡쳐 기능을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아마도 웹에 올릴 목적으로 캡쳐를 하시겠지요?? 포맷은 JPG-일반 으로 설정
하시는 것이 제일 무난합니다.
BMP는 그 자체가 파일 크기가 너무 크고 또 웹에 올려도 웹에서 이미지가 바로 보이지 않습니다.
PNG는 웹에서 바로 볼 수는 있는데 이미지가 작은 경우에는 상관이 없지만 이미지가 커지면 파일 크기도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JPG-일반의 경우 그냥 웹에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무난한 화질에 크기가 나옵니다.
JPG-고품질의 경우는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역시 파일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 옵션은 혹시 인쇄물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사용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냥 정보란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버전이 현재 1.7.6.178 입니다.
반디캠은 무료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물론 무료로도 사용은 할 수 있습니다만, 일부 기능 제한이 있습니다. 녹화된 화면에 반디캠 로고가 들어가고 녹화 시간이 12분이었습니다. 반디캠을 정식으로 등록을 하면 이러한 기능제한 없이 모든 기능을 다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단 반디캠은 무료사용해보시고 제품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시면 구매하시면 될 것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오늘은 요즈음 컴퓨터 화면에 자주 등장하는 “ 보안콘텐츠만 표시됩니다 ” 를 안나오게 하는 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컴퓨터를 하다 보면 간혹 아래 사진과 같이 "보안콘텐츠만 표시됩니다"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 모든 콘텐츠 표시"를 클릭해
 
서 넘어갈 수 있지만 이렇게 넘어가게 되면 다시 동일한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또다시 보안 콘텐츠만 표시된다는 메시지가 계속 뜨게되는 불편함
 
이 있습니다.. 대부분 이런 메시지는 암호화된 콘텐츠로 구성이 된 가입 페이지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런 불편한 메시지가 뜨지 않도록 설정하
 
는 방법을  설정해보겠습니다. 
 
 
메시지를 뜨지 않게 설정하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시키신 후 아래 사진과 같이  <도구>를 클릭하신 후 2번 <인터넷 옵션>을 클릭
 
해서 인터넷 옵션 창을 열어줍니다. 상단에 <파일>, <보기>, <도구> 등의 글자가 보이지 않는 분들이 있다면 아래 방법으로
 
해결하시면 됩니다.
 
메뉴 모음이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빈 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메뉴 모음(E)>에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해결이 되었다면 인터넷 옵션창이 열어주시고  <보안>을 클릭하신 후 

 

 

   아래 부분에 보이는 <사용자 지정 수준>을 클릭하세요. 이런 설정

 


변경을 망설이시는 분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설정을 변경했다고 
 하더라도 아래 사진 맨 아래 있는 <모든 영역을 기본 수준으로 다시 설정>
 
을 클릭하시면 설정을 변경하기 전 기본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수준을 클릭하시면 아래 사진과 같이 "보안 설정 창"이 뜨게 됩니다. 설정 부분에 표시된 글 중 "혼합된 콘텐츠 표시"라는 부분을 찾아주세요. 
  

 
 <사용>으로 설정을 변경해주시고 <확인>을 클릭해주세요. 이렇게 하시면 종종 보였던 "보안콘텐츠만 표시됩니다"라는 메시지가 화면에 뜨지
  않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예"를 클릭하면  지금 까지 귀찮게 했던 "콘텐츠만 표시됩니다"는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홈페이지제작]을 위한 html5과 css3 예제


html과 css 에 대하여
현재의 웹 페이지 제작 기술들 중에서 가장 큰 화두는 HTML5입니다.
10여년간 꾸준히 사용 되어오던 XHTML+CSS2의 웹페이지 제작기술은 그래픽적인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었으며 인터렉티브한 요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래쉬나 다른 ActiveX와 같은 요소를 사용해야 했으며, 무엇보다 표준화 되지 않은 제작기술의 범람으로 크로스 브라우징이라는 당연히 적용되어야 하는 주제를 무척이나 까다로운 이슈로 남겨놓았습니다.
새롭게 등장한 HTML5는 이러한 웹 페이지 제작의 어려움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고안되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XHTML + CSS2의 표준화된 요소들 위에 더욱 시맨틱해진 태그 요소들과, 그래픽적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효과들, 멀티미디어를 HTML 자체에서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등 HTML5로 제작된 웹 페이지는 기존의 XHTML 기반의 웹 페이지보다 더욱더 인터렉티브해 집니다.
특히 CSS3에서 추가된 “미디어 쿼리”기능은 한 번의 작업으로 다양한 해상도에 따라 각기 다른 UI 형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PC + 테블릿 + 스마트 폰을 한번에 지원하는 “반응형 웹”이라는 새로운 제작 기법을 탄생 시켰습니다
html5의 간단한 예시블 보도록 하겠습니다.
<!doctype html>:Html을 알리는 태그
<html (lang="ko")>:시작과 끝
<head>:브라우저에게 정보를 주는 태그
<body>: 몸통과 같은 존재(내용)
<meta>: <meta charset="utf-8">
html5에서 한국어뿐만아니라 모든언어를 사용할수있는 문자세트
<div> 전체를 감싸는 요소
<title>
<br>:줄바꿈
<img>,<video>,<audio>
<header>: 머리말
/<nav>: 문서 +사이트 연결 내비게이션 역할
<ul>,<ol>,<li>: 목록 /
<p>:텍스트
<hn>:크기별 제목
<article>:콘텐츠
<aside>:사이드바
<footer>: 저작권표시
<table>,<tr>,<td>,<th>:표
◈<form>,<fieldset>,<legnd>,<label>,<button>,<input> 등: 폼만들기◈
css3의 간단한 예시블 보도록 하겠습니다.
 
<style>, .class , #id : 스타일 정의하고 적용!
font-size,wieght,align,shadow,height,style: 텍스트 꾸미기
color, background(배경)
margin(박스 바깥 여백)/ padding(박스안쪽 바깥 여백)
border(테두리) -radius(둥글게)
transform(웹요소변형)
transition(애니메이션효과),animation(애니메이션)
@media(반응형웹디자인)
 
 
웹문서의 기본적인 스타일을 미리 지정해둔 스타일시트. html로는 웹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문서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이용하기 편리하다는 특징이 있다.html이 웹문서의 뼈대를 잡기 위한 도구라면, CSS(스타일시트)는 그 뼈대를 더 예쁘게 꾸미는데 필요한 도구라고 설명할 수 있다.
 
◈ CSS(스타일시트)의 선택자
- 태그 : 선택한 태그가 사용된 모든 내용에 대해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 / ex) a 태그의 기본 기능인 파란글씨/밑줄을 없애는 것
- 클래스 : 비슷한 계열의 내용에 같은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 / 같은 이름의 클래스가 존재할 수 있음
- 아이디 : 한 '화면'에서 유일한 값으로 특정 범위에만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 / 같은 이름의 아이디가 존재할 수 없음
 
 
◈ CSS(스타일시트)의 문법
태그명 { 속성명:값; 속성명2:값2; }
#아이디명 { 속성명:값; 속성명2:값2; } /* 설명을 써주세요 */
.클래스명 { 속성명:값; 속성명2:값2; }
CSS(스타일시트)는 html과 다르게 () 대신 {}중괄호를, = 대신 :(콜론)를 사용하며, 값 뒤에는 반드시;(세미콜론)을 붙여야 한다.
또한 스타일시트에서는 '/* */'를 주석으로 쓰며, /* 와 */ 사이에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
 
2. font 태그(글자)와 관련된 CSS 속성
1) color : 색상값 ; - 글자 색상
2) font-size : 사이즈값 ; - 글자 크기
3) font-family : 폰트명 ; - 글자 폰트(폰트명이 길어 띄어쓰기된 경우 작은따옴표로 묶어줘야 함 / ex) 'time new roman'
4) font-style : (italic/normal) ; - 글자 기울임꼴 지정 / 태그 자체에 글자 기울임꼴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바꾸기 위한 기능
5) font-weight : (bold/normal) ; - 굵은 글꼴 / 태그 자체에 굵은 글꼴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바꾸기 위한 기능 / ex) th 태그
6) text-align : (left/center/right) ; - 글자의 가로 정렬 / 컨트롤에서 많이 쓰임 / ex) 버튼 위 글씨라서 가운데 정렬이 필요할 때
7) test-decoration : (underline/none) ; - 글자의 밑줄 / ex) a 태그에서 밑줄 지울 때
 
+ 사이즈를 나타내는 단위
절대크기 - pt, mm, cm, inch
상대크기 - px(해상도에 따라 달라짐), %, em
 
CSS(스타일시트)를 적용해볼 예시
◈ 태그에 CSS(스타일시트) 적용하기
<p> 태그에 스타일시트로 속성을 변경한 경우
  
 

 
위의 예시에서 <body> 부분은 전혀 건드리지 않고, p 태그에 스타일시트를 이용해 오렌지색 / 10pt / 기울임꼴 / 가운데 정렬을 속성으로 설정한 결과 아래와 같이 내용의 스타일이 변경되었다.
+ 참고로 스타일시트는 <head><body> 사이에 작성하며 <style> ........ </style>의 형태로 내용을 쓴다
◈ 클래스에 CSS(스타일시트) 적용하기
 
 
클래스에 스타일시트를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점)을 클래스명 앞에 붙인 후 중괄호로 속성을 적용한다.
빨간색 / 20pt / 글자 밑줄을 "testA"라는 클래스에 적용한 예시이며, "testA"클래스를 제외한 나머지 내용에는 직전에 적용한 p태그의 스타일시트가 그대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다중모니터 설정하는 법, 모니터 두 대 연결하는 법
  


듀얼모니터 설정하는 방법이나 듀얼모니터 연결 방법을  어떻게 해야하는 지도 모르고 어려워 보여서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정말 쉽고 간단합니다.
듀얼모니터 연결방법은 하나하나 찬찬히 따라 하시면 모니터 설정하는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기위해서는 준비물 : 모니터, 본체가 준비해야 하며 연결케이블 본체 뒤편을 보시면 저런식으로 생긴게 있습니다.
모니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곳이 있으며 모니터 뒤를 보시면 똑같이 저렇게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그런데 VGA라고 써있는 것이 있고 DVI라고 써있는 것이 있고 DVI용 케이블이 있고 VGA용 케이블이 있습니다.
단자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기때문입니다.
쉽게 예를들자면 DVI는 110V 콘센트 VGA는 220V 콘센트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나만 연결해도 모니터 잘나옵니다.
둘다 연결하는거 아니며 한 모니터에 한 케이블 그럼 케이블을 준비해서 그런 다음 화면 해상도에 들어가서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 화면해상도)
다중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디스플레이 확장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중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선택 가능한 것은 4가지가 있습니다.
1.디스플레이 복제 /모니터 1과 2에서 똑같은 화면 띄우기
2.디스플레이 확장 /모니터1과 모니터 2는 별개의 화면
3. 1에만 바탕화면표시 /모니터1만 사용
4. 2에만 바탕화면 표시 /
그냥 디스플레이 확장사용하시면 됩니다!
듀얼모니터 완료!
2번째 : 듀얼모니터 바탕화면 배경화면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

 

 
두 개 모니터 화면을 다르게 지정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윈도우 7 8 10 에서는 이런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듀얼 모니터에서 각각 다른 바탕화면을 설정하고 싶은 분이라면
DualWallpap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히 다른 바탕화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듀얼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은 모니터와 다른 모니터 바탕화면으로 너무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럴 때 Dual Wallpaper를 사용하면 됩니다.
설치파일이 아니라 실행파일 하나만 있고
DualWallpaper를 실행시킵니다.
<파일은 첨부해 두었으니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Browse를 클릭하면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고
Fit 설정 메뉴에서 화면을 설정한 뒤 Set Wallpaper를 누르시면 화면설정 완료입니다.
Fit의 설정 메뉴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enter Image and do not stretch 이미지를 가운데 정렬하고, 늘리지 않음
Stretch Ignoring aspect ratio 종횡비를 무시하고 늘림
Over stretch and clip to maintain aspect ratio 종횡비를 유지하고 늘린 뒤 화면보다 이미지가 큰 경우 자름
 
Under stretch and add bars to maintain aspect ratio 종횡비를 유지하고 화면 크기를 늘린 뒤, 남은 부분은 검은색으로 처리
직접 눌러보시면서 하시면 감이 잡히실 겁니다.
그러면 이런식으로 설정완료를 했다면 아주 이쁘게 각각 다른 모니터에 다른 이미지의 바탕화면이 완성!
DualWallpaper를 통해 듀얼 모니터에 각각 다른 바탕화면을 적용하면 됩니다.
모니터마다 다른 바탕화면이 나오게 설정할 수도 있고 또는 같은 사진이라도 Fit 메뉴를 통해 화면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도 있습니다.
듀얼모니터 사용하시는 분들은 꼭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7에서 듀얼 모니터 설정하기 
 

 
2번째 윈도우 7에서 듀얼 모니터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컴퓨터 디자인작업이나 한글 문서 작업할때 편리한 기능입니다.
듀얼 모니터 구성을 하려면 영상 출력 단자가 2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듀얼 모니터 구성을 하려면 듀얼 모니터 구성이 가능한 그래픽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하겠죠.
그래픽카드에 DVI+RGB 단자에 모니터케이블을 연결하고 각각 모니터에 연결하고 부팅하세요
드라이버 설정에 들어가셔서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면 다중 디스플레이에 2개의 모니터 정보가나옵니다.
천천히 해볼가요?
1. 바탕화면 아무곳에 오른 마우스를 눌러 [화면 해상도] 메뉴를 선택합니다.
2. 현재는 모니터 두개가 나와있는걸 확인가능한데 처음으로 모니터를 연결했다면 보조 모니터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서브 모니터가 안잡힌다면 화면 해상도 설정 창을 열고 [감지] 버튼을 눌러 줍니다. 그러면 2개의 모니터가 뜨게 됩니다.
3. 만약 보조 모니터를 왼쪽으로 바꿨다면 확장된 영역도 왼쪽으로 가야 하겠죠.
그대로 두면 보조 모니터에 메인 바탕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바탕화면 영역을 바꾸는 것은 간단합니다. 선택한 후 마우스로 끌어서 옮기면 위치가 바뀝니다.
4. 모니터별 해상도를 바꾸고 싶다면 해당 모니터를 선택한 후 [해상도] 콤보박스에서 지원하는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해 줍니다.
보통 권장을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글자가 너무 작아서 잘안보이시면 해상도를 낮추시면 됩니다.
5. 주모니터설정으로 1, 2번의 디스플레이의 번호를 바꿀 수도 있어요. .이건 서브모니터쪽으로 들어가면 있는 설정메뉴입니다.
이걸 클릭하면 1,2번의 위치가 바낍니다
6.다중디스플레이 설정된 모니터 입니다. 인터넷과 문서작업 하기 편하며 업무활용도 높아요.
책상공간활용을 위해서 주모니터는 26인치 보조모니터는 17인치 구성해봤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워드프레스의 장점


최근에는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제작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웹호스팅 업체에서 워드프레스 자동설치를 지원하고 있고 함께 웹호스팅에 워드프레스 프로그램, 코어를 설치해야 하며,
새로이 쇼핑몰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사이에는 간편한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의 하나로, 반응형웹지원, 깔끔한 디자인 등의 장점이 있는 워드프레스 쇼핑몰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워드프레스 쇼핑몰 플러그인이라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전세계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우커머스 플러그인을 떠올린다.
 
그러나 해외의 쇼핑몰 환경과 국내 쇼핑몰 환경은 많은 차이가 있어 이러한 차이를 좁히기 위해 제작사들은 국내환경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고 선택하지 않으면 쇼핑몰 창업 예산이 늘어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기존에 우커머스 플러그인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쇼핑몰기능 외에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기능이 몇 있는데 찬찬히 살펴보면, 쇼핑몰 가입 회원을 관리할 수 있는 회원관리 플러그인, 국내 홈페이지/쇼핑몰 운영할 때 필수인 SSL(보안서버)연동, 신용카드 결제에 필요한 PG모듈, 판매 및 배송 현황을 알 수 있는 SMS연동, 페이시스템을 적용한 간편결제, 네이버 쇼핑 연동, 성인고객 확인을 위한 성인인증, 등이 있다.
 
워드프레스 쇼핑몰 제작을 진행하는 제작사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유/무료 플러그인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유료 플러그인 같은 경우는 적게는 1~2만원부터 많게는 30만원까지의 플러그인 비용을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의 플러그인 부분 외에 유료테마 구매와 호스팅 도메인 구매를 같이 한다면 100만원 +@의 비용이 나올 수 있다.
 
또한 해당 기능들에 대해 세부적인 기능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로 책정되며, 플러그인간 호환성도 중요하게 체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에 나열한 부분은 쇼핑몰을 직접 제작한다는 가정하에 책정된 비용이고 쇼핑몰 제작회사에 대행을 할 경우 200만원 이상의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

 
 
물론 유료 테마, 유료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무료기능만으로도 우커머스 쇼핑몰은 구축이 가능하지만 국내 쇼핑몰환경에 최적화된 타 워드프레스 쇼핑몰/쇼핑몰 솔루션과의 기능경쟁에서 밀려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
 
해외 워드프레스 쇼핑몰 플러그인도 무료 플러그인에 대해 기능을 제한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여의치 않다.
 
그럼 워드프레스 쇼핑몰 제작에는 우커머스 플러그인 밖에 없을까? 국내 워드프레스 테마 제작사인 보부상 워드프레스에서 나온 BBSe-Commerce 플러그인을 탑재한 Blog Shop, Style Shop(이하 블로그샵)테마를 우커머스 플러그인의 대항마로 본다.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해서 불편한 구조를 없애고 비용까지도 확실히 절감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의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런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선 우선 호스팅 서버 또는 개인서버가 필요하다.

또한 수 많은 플러그인과 오픈소스의 확장성으로 현재는 기업 홈페이지로도 손색이 없으며 단순히 블로그 제작 도구를 넘어 기억의 홈페이지 제작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워드프레스는 기업이나 개인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소스코드 수정을 통해 자신만의 도구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JSP프로그램을 위한 이클립스 설치 및 톰캣 이클립스 연동


JSP시작 이클립스 -톰캣 연동 /톰캣이 설치 되어 있어야합니다.

톰캣 다운로드 설치 /이클립스 설치 

  



 1 web 프로젝트 생성


가. 먼저 이클립스 내부에 톰캣을 돌리기 위해서는 

톰캣서버를 먼저 꺼야 합니다. 

(시작메뉴--Configure Tomcat ---General

start,stop있음)

(중요!! 톰캣이 두 개 돌면 포트 충돌이 발생할 수있음)

나. 이클립스를 실행-파일->New->Other를 눌러줍니다.

다. 먼저 Web을 선택하고, 아래 그림처럼 Dynamic Web Project선택

라. 먼저 프로젝트 명을 적어 넣고 Finish

(중요한 것은 Context root 경로인데, 여기서 Finish를 누르면 

디폴트 프로젝트명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Context root 경로를 다르게 설정하려면 몇 번의 Next눌러야함

처음공부하는 분은 여기서 Finish누른다.

  

2.JSP파일 생성

가. 프로젝트가 만들어 졌으면 프로젝트 아래 WebContent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하면 팝업메뉴가 나옵니다.

New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JSP File을 눌러 줍니다.

나 JSP파일명을 넣어 주고 Finish 누른다

  

다. JSP 코딩을 합니다. <환영합니다.>

3. 프로젝트 실행

가.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JSP파일을 우클릭하고 Run AS 선택후 

Run on Server를 눌러 줍니다.

나. 설정이 되었으면 바로 실행 되지만 처음 실행하시는 분들은 

설정화면이 난타납니다.

처럼 실행하시는 분들은 톰캣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Apache 폴더를 선택하시고 설치한 버전의 톰캣을 선택후 Next 누름

다. 톰캣이 설치된 경로를 넣어 주고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라. 윈도우 보안 경고음이 나오면 하단에 [액세스 허용]을 눌러 주세요

마.......test.jsp실행하면 <<환영합니다> 성공!1

    

4.라이브러리 추가 

서블릿이라든지 JSP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기본 라이브리을 추가해야합니다.

(jsp-api.jar,servlet-api.jar)

가.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하고 properties를 클릭합니다.

나. Java Build Path를 선택하고 Libraries탭을 눌러 줍니다.

다. 1) Add External JARs..번튼을 클릭하면 창이 하나 더 나타납니다.

2)번처럼 톰갯설치된 폴드에서 lib폴더를 선택합니다. 

3)Shift키를 누른채 jsp-api.jar과 servlet-api.jar파일을 선택합니다.

4)마지막으로 열기버튼을 누릅니다.

5) 라이브러리가 잘 추가 되었으면 OK버튼을눌러 줍니다.



'프로그래밍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Servlet 및 JSP를 이용한 게시판  (0) 2017.08.17
[JSP] JSP 기본 동작  (0) 2017.08.17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자바(java)와 이클립스 설치및 톰캣연동

 


자바(java)수업을 위한 이클립스 설치와 톰캣연동

 

 자바를 사용하려면 JDK와 이클립스를 설치해야한다

JDK는 www.oracle.com 이곳에서 다운로드 탭의 Java for developer 로 들어가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골라 설치하면 된다

이클립스는 www.eclipse.org/downloads/ 이곳에 들어가서 다운받으면 된다.

두개를 다받았다면 자바를 사용하기위해 환경변수 설정을 해줘야한다. 

자신이 설치한 jdk의 경로를 복사해서 내컴퓨터-속성-고급 시스템 설정-고급-환경변수 에서 새로만들기를 클릭해서 

변수 이름:JAVA_HOME 

변수 경로:자바스크립트경로

이렇게 해주고 환경변수중에 path라는 변수가있는데 이걸 클릭해서 편집을 눌러 

변수 경로를 자신의 jdk경로\bin\javac.exe 로 바꿔주면 모든 준비가 끝난다

이제 이클립스를켜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고

예제를 쳐보겠다 이예제는 C언어에서 printf함수처럼 화면에 텍스트를 출력해주는 예제이다

public class hello3 {

/**

* @param arg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ystem.out.println("Hellow");

}

}

ctrl+f11 버튼을 눌러주면 컴파일되어 아래 콘솔창에 hellow가 나타나게된다

  

 

1.톰캣설치 되어 있어야한다 

설치확인 /시작메뉴 -Aphachi tomcat8.0 --Configure Tomcat -[팝업창] -stopped되어있어야한다.

2.이클립스 설치 

▶ 이클립스 톰캣 연동 #1 - 톰캣 설치하기


이클립스 톰캣 연동 첫 번째로 톰캣을 설치해 보자 

실제 웹서비스에서는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해서 같이 사용하는데

개발단계에서는 톰캣하나만으로 충분하고 

실제 톰캣만으로도 서비스가 가능하나 일다 톰캣을 설치하다 

(당근 자바는 설치 되어 있어야 함)

톰캣설치리 setup Configuration Options에서

Server Shutdown port  : 8005

HTTP/1.1 connector Port : 8080

▶ 포트나 관리자 비번  설정

포트는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냥 기본 8080으로 

관리자 비번은 지정해 주는 것으로...

------

설치후 웹브라우저 열어서 localhost:지정포트 8080기본 쳐서

톰캣 페이지가 나오면 성공 

-----

작업표시줄 아이콘 영역에 보면 톰캣아이콘이 있음

우측버튼을 누른 후 팝업메뉴에서 start, stop등 실행

Configure Tomcat 열러서

Start, Stop  -->후 [확임]

 



----------------------------------------

 ▶만약 zip파일로 설치 했다면

톰 캣시작 : 설피폴더/bin/startup.bat 파일실행

톰캣중지 : 설치폴러/bin/shutdown.bat 파일을 실행하면 된다.

이렇게 이클립스와 톰캣을 연동하기 위한 첫단계 톰캣설치는 끝

하지만 이렇게만 알고 끝나면 과연 좋을까 ?

톰캣이 뭐하는 놈인지 알아야 하지 않을 까 ?

난 이클립스로 개발할건데 이런사람도 있을 것이고...

그래서 몇가지만 알고 넘어가야할 것 적어본다 ..

1.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Server(WAS)의 차이점(톰캣은 WAS)

2.기본 Root가 아닌 다른 Root를 지정하려면?

3.포트를 변경하려면?

4.여러개의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5.왜 아파치랑 톰캣을 연동해서 쓰는 것인지?

이클립스_톰캣_연동, 

--------

▶ 두 개의 이클립스가 작동될 때 

하나는 먼저 설치한 Java실행되고 있는데 

jsp에서 포트 에러가 난다 

그러면 /java 포트를 중지하고 쓰면 될까 ???????

▶ 오라클 톰캣 port 에러 

다음에러시 주의를 해야 한다.

JSP 실행시 8080 에러 < 황 강사님 변경>

SQL>conn/ as sysdba;

connected.

SQL> select dbms_xdb.gethttpport() from dua1;

DBMS_XDB.GETHTTPPORT()

----------------------

 ▶ 8080 에러가 나타날때는 SQL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SQL> exce dbms_xdb.sethttpport(9090);

PL/SQL procedure successfully completed.

SQL> conn/as sysdba;

Connected.

SQL>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JAVA(자바)에 필용한 유용한 응용프로그램들

 

 

자바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이며 여러개의 객체들을 만들고 그 객체들의 관계를 프로그래밍 으로 설정해 가는 것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합니다 .

자바를 통해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면 '.java' 라는 확장자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언어로 변경해주는 'javac'라는 자바 전용 컴파일러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 컴파일링을 하게 되면 '.class' 라는 파일이 생성되고 이 파일을 자바 가상머신 (JVM) 을 통해 코드가 실행하고 이것이 바로 자바를 통한 프로그래밍 실행 순서입니다 .

  

JAM 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위에서 말한 것 처럼 자바로 작성한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그렇다면 자바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자바 프로그래밍을 하기위해서 크게 두가지를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데 바로 이클립스 와 JDK(JAVA Development Kit)입니다 .

이클립스 는 자바를 쉽게 사용하게 만들어 주는 툴킷 이며 JDK 는 자바 라는 언어를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자바 환경도구 라고 하며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8-downloads-2133151.html

위의 주소에 접속하시면 JDK 를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다음으로 자바의 특징을 말씀드리면 자바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제임스 고슬링 (James Gosling)과 다른 연구원들이 개발한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Java Virtual Machine)이라는 특수한 가상 머신이 필요한데 , 이 가상 머신은 자바 바이트코드를 어느 플랫폼에서나 동일한 형태로 실행시킵니다 . 때문에 자바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CPU 나 운영 체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JVM 을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으며 , 이 점이 웹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맞아떨어져 폭발적인 인기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

 

 



  

끝으로 자바와 자바스크립트의 차이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  

1.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인터프리트 (interpreted)되는 언어이다 (마치 HTML 과 같이 ). 그러나 자바는 일단 서버측에서 컴파일해야 하고 , 프로그램의 실행은 사용자측에서 이루어집니다 .

2. 두 언어 모두 객체 지향적 언어이다 .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는 상속성이나 클래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3. 자바스크립트는 HTML 코드에 끼워져서 (embedded)사용되지만 자바는 HTML 과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 단 , HTML 을 이용해야 자바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4. 흔히 루즈 타입 (loose type)이라는 변수형을 선언할 필요가 없다 . 반면에 자바는 항상 변수형을 선언해야 한다 . 이 경우 스트롱 타입 (strong type)이라 합니다 .

5.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연결 (dynamic binding)이기 때문에 객체에 대한 참조는 실행시에만 한다 . 그러나 정적인 연결 (static binding)을 취하는 자바는 컴파일시에 객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집니다 .

6. 두 언어 모두 안전하다 . 그러나 자바스크립트의 경우는 HTML 코드에 직접 끼워져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 볼 수가 있습니다 . 그러나 자바의 경우는 다르며 자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면 바이트 코드로 불리는 클래스 파일이 생성됩니다 . 따라서 프로그램 작성자가 디렉토리 안에 소스 코드를 지워도 HTML 에서 부르는 것은 자바 클래스 파일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그 소스를 보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자바 기본 문법 자바 데이터형 Primitive Data Types

 

 

  

데이터형은 자바 언어가 처리 할 수 있는 데이터 종류를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아래와 같은 2가지의 데이터형(Data Type)이 있다.

◈기본 데이터형과 ◈참조 데이터형있으며 기본데이터형에는 다음과 같은 8개의 기본 데이터형이 있다.

논리형 (boolean / 1byte)

참과 거짓을 표현할때 사용하고 반드시 소문자 true, false 값 중 하나를 갖는다.

그러나 C언어처럼 0이나 1 값 또는 대문자로 표현되는 TRUE, FALSE 값은 갖지 못한다.

boolean result = false; boolean flag = true;

문자형 (char / 2byte)

반드시 하나의 문자를 가지며 16비트 유니코드 값을 표현한다.

(유니코드란 전세계의 문자를 표현 할 수 있는 언어 표현 방식으로 char unicode='\uC790'; 

이렇게 사용할수있으며 이것은 한글 '자'를 나타낸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각 언어에 맞는 유니코드값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char 데이터형은 기본적으로 정수형에 속한다. 즉 문자가 정수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int num = = 'A' + 1; //문자 A가 아스키코드값인 65로 변경되고 연산되어 num = 66이저장됨

char 값은 반드시 단일 따옴표를 사용해 표현한다.

char c = 'A';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10진수, 8진수,16진수, 2진수로 표현 가능하며 int가 기본형이다.

그러므로 long형을 표현할때에는 정수값 뒤에 L 또는 L을 붙여 구분한다.

int age = 26; long num = 100L; //정수값에 명시적으로 L또는l을 붙이지 않으면 기본형인 int 데이터형을 의미

종류와 크기 

byte = 8bit / short -=2byte / int =4byte / long = 8byte 

실수형 (float, double)

소수점을 가진 숫자를 의미하며 double이 기본형이다.

그러므로 float형을 표현할때에는 실수 값 뒤에 F 또는 f를 붙여 구분한다.

double abc = 43.2; float xyz = 3.12F //실수값에 명시적으로 F또는 f를 붙이지 않으면 기본형인 double형을 의미

종류와 크기

float = 4byte / double = 8byte

정수형인 int와 실수형인 float 데이터형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 32bit를 사용하지만

기본적으로 실수형이 정수형보다 큰 데이터형으로 처리된다.

◈참조 데이터형

자바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형 중 8개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 모든 데이터형

(대표적으로 클래스, 배열, 인터페이스)

String name = "홍길동"; //String클래스 , 참조형 타입 String(문자열)은 4byte int[]arr = {1,2,3,4}; //int 데이터형 배열 Student stu = new Student("유관순", 17,"서울"); //Student 클래스

기본형 데이터타입

Boolean 1byte / char 2byte

byte 8bit / short 2byte / int 4byte /long 8byte

float 4byte / double 8byte

참조형 데이터타입은 모두 4byte

ex) String 4byte 

  

자바 기본 문법

   

논리형은 참과 거짓을 뜻하며 데이터 형변환이 불가능 하며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대문자 TRUE, FALSE는 논리형이 아니다.

ex) return false ; 

문자형은 문자 한개를 저장할 수 있는 단일 문자형으로 ' (따옴표)로 감싸줘야 합니다.

ex) 'A', 'a'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정수형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int형(4byte)로 표현된다.

long형 표현시 숫자뒤에 'l or L'을 붙여야 한다.

ex) 0, -1, -123, 123L, 123l

실수형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float형을 표현시 숫자뒤에 'f or F'를 붙여준다.

ex) 3.14f , 3.14F

  

◈자바의 레퍼런스 데이터형은 C의 포인터형과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C의 포인터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 할수 있는 반면 자바의 레퍼런스 데이터형은 메모리에 직접접근 할수 없다.

◈ 자바에서의 데이터형 변환

종류가 다른 데이터간에 연산이나 대딥을 하는 경우에 대입을 하는 경우에 한 종류의 데이터형이 다른종류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 모든 데이터가 INT 보다 작은경우 이항연산시 INT형으로 일괄적으로 바뀐다.

BYTE 데이터와 LONG 데이터를 연산하면 BYTE 데이터가 연산시에 LONG 형으로 자동으로 바뀌어 연산된다. 

◈ 캐스팅(CASTING)

자동으로 데이터 형변화이 일어나는 것과는 달리 "큰것을 작은것에 넣는것은 명시적으로 지시해야 한다." 이런 명시적인 지시를 캐스팅이라 한다.

예) byte b = (byte)2099; 이런경우 실제로 51이라는 엉뚱한 결과가 들어가게 됨

◈ 자바에서의 변수선언

C에서는 변수선언을 실행문이 나오기 전에 모두 선언되어야 하지만 자바에서는 블록 { } 으로 묶여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가능하다. 

    

 

 

◈ 자바의 데이터형

◈ 정수

◈ = byte (1byte) -128 ~ 127

◈ 파일 입출력, 네트워크 통신

◈ = short (2byte) -32768 ~ 32767

◈ 자바에서는 사용빈도가 없다 

◈ = int (4byte) -21억 4천 ~ 21억 4천

◈ Default

◈ = long (8byte)

◈ ==> int vs long

◈ int => default (10진법) 10, 20...

◈ long => 101, 10L

◈ 금융권

◈ 실수

◈ = float (4byte) : 10.5f, 20.0F

◈ 소수점 이하 6자리

◈ = double (8byte) : 10.5d, 20.0D => (d, D는 생략이 가능)

◈ Default

◈ 소수점 이하 15자리(건축)

◈ 문자

◈ = char (2byte) => multi-byte(unicode)

◈ 표현 : 'A', '홍'

◈ 0~65535

◈ 논리

◈ = boolean : true/false => 조건식

◈ 

◈ 크기 비교

◈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 char(언제든지 정수형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 자바변수 식별자

◈ 1) 알파벳이나 한글로 시작한다.

◈ 알파벳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2) 숫자 사용이 가능(단 앞에 사용할 수 없다.)

◈ 3) 특수문자 사용이 가능($ , _ )

◈ 4) 예약어(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다

◈ 예약어 : 자바에서 사용중인 단어

◈ EX) int, double ....

 

◈ 변수 : 단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이름

◈ => 수시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 상수 : 단일 데이터 저장 => 값을 변경할 수 없다.(final)

◈ 변수 선언 방법

◈ => 데이터형 변수명 = 값

◈ EX) 정수 저장

◈ int a=10;

◈ a=20;

◈ final int a=10;

◈ a-20; ==> error

 

◈ 자바 개발자의 약속

◈ 1) 클래스명을 대문자로 시작한다.

◈ Student 

◈ 2) 상수는 모든 문자가 대문자이다.

◈ PI

◈ 3) 변수, 메소드는 소문자로 시작

◈ 단어가 두개일 경우에는 두번단어는 대문자

◈ fileName, firstName

◈ 4) 문장종료는 ';'

◈ 5) 들여쓰기

◈ 자바

◈ public class A {

◈ 코딩

◈ }

◈ c/c++

◈ public class A

◈ {

◈ 코딩

◈ }

◈ 

◈ 

◈/ 

public class 자바데이터형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정수 3개 저장

/◈int kor=85;

int eng=80;

int math=75;◈/

int kor=86, eng=80,math=75;

// 데이터형이 동일할 떄

/◈

◈ 첫번쨰 방식

◈ 1. 변수 선언

◈ 2. 값주입

◈ int a;

◈ a=100;

◈ 두번째 방식

◈ 선언과 동시에 값주입

◈ int a=100;

◈ 변수는 반드시 초기값을 주입해야 한다

◈ 

◈ C/C++ => 가장 첫줄에 변수 선언

◈ java => 원하는 위에서 변수 선언이 가능

◈/

// 출력

/◈

◈ system.out.println() : 화면 출력

◈ system.out.print() : 화면 출력

◈ system.out.pintf() : 화면 출력

◈/

System.out.print("이름은?");

System.out.print("홍길동입니다\n");

// ctrl + F11 = 실행

// ln : new line

System.out.printf("%-5d%-5d%5d\n",10,20,30);

/◈

◈ %d : 정수

◈ %c : 문자

◈ %f : 실수

◈ %s : 문자열

◈ 

◈ "%5d",10

◈ => ^^^10(5칸 사용 출력)

◈ "%-5d",10

◈ => 10^^^(5칸 사용 출력)

◈/

double d=10.56789;

System.out.println(d);

System.out.printf("%.2f\t",d);

System.out.println("\"홍길동\"");

/◈

◈ \t => tab(일정간격을 줄때)

◈ \n => new line (다음줄에 출력)

◈ \\ => \

◈ \" => "

◈ \' => ' (34page)

◈/

}  

}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