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트리 계층구조( linux tree directory) 이해

  

 

리눅스는 계층적인 트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리눅스는 윈도우즈와는 달리 드라이브 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파티션(partition)과 마운트(mount)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리눅스는 유닉스와 마찬가지로 모든것을 파일로 취급하여 처리하며 리눅스의 기본적인 디렉토리 구조는 다음과 같다.
 

 

/ (root)
최상위 디렉토리로서, 루트 디렉토리라고 한다.
모든 디렉토리는 루트를 기준으로 생성되며 루트는 모든 디렉토리의 출발점이자 다른 파티션의 연결점이다.
/bi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로 많은 리눅스 명령이 저장되어 있다.
'bin' 이라는 이름은 이곳의 프로그램 배부분이 이진 파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var
내용이 자주 변경되는 가변 자료들이 저장되는 곳으로, 기본적으로는 시스템을 운영할 때 발생되는 로그 파일들이 저장된다.
다은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리눅스를 운영할때 사용 하면 바람직 하다.
- 메일을 송/수신할 때 임시로 저장되는 스풀
- 프린트로 전송하기 위해 임시로 저장하는 프린트 스풀 데이터
- 레드햇 배포판에서 패키지로 제공하는 아파치 웹 서버 관련 자료
- MySQL의 데이터 베이스
- FTP의 최상위 디렉토리 등등

/boot
부팅에 필요한 지원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며, 시스템 부팅 시 부트로더가 커널의 위치를 참조 한다.
/dev
각 장치에 대한 장치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로, 용량을 차지 하지 않는 가상의 디렉토리다.
통상적으로 파일을 저장하지 않는다.
/dev 디렉토리에 있는 유용한 파일 가운데 하나는 null 이다.
이파일은 존재하지 않거나 비어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etc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이 존재한다.
실행파일은 존재하지 않고 편집기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을 변경하여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하는 디렉토리다.
시스템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있다.
가장 유명한 파일은 시스템의 암호 파일인 passwd가 있다.
/home
일반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하는 곳이다.
또한 FTP, MySQL, 등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위한 디렉토리로 사용될 수도 있다.
/lib
기본적인 라이브러리가 위치하는 디렉토리로서, 시스템 운영이나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 및 부팅할 때 사용되는 커널 모듈도 포함된다.
/mnt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임시로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들이 위치할 곳이다.
CD-ROM 이나 USB에 대한 기본 마운트 포인트를 제공한다.
/proc
프로세스와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가상 파일 시스템을 위한 디렉토리다.
/proc은 실제로 하드디스크 상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메모리에 존재하는 내용을 마치 하드디스크에 있는 하나의 파일처럼 다룰수 있게 해 주는 디렉토리다.
/sbin
sbin은 시스템 바이너리(system binaries)의 약자로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운영에 필요한 명령어가 존재하는 디렉토리다.
즉 관리자만 사용하며 해당 명령어로는 fdisk, reboot 등이 있다.
/tmp
프로세스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로, 수시로 파일이 생성되고 삭제된다.
시스템을 재구동하는 경우에는 존재하는 모든 파일이 삭제된다.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저장할 필요가 있는 파일을 이곳에 저장한다.
/usr
모든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파일들, 라이브러리 파일 및 실행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로, 비교적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usr의 하위 디렉토리

 디렉토리명

 

 /usr/bin

 실행 파일을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usr/dict

 리눅스 사전이 사용하는 파일들이 들어 있다.

 /usr/include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하는 파일들이 존재한다.

 /usr/lib

 /lib의 일부분처럼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usr/local

 시스템 관리자가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저장하는데 사용한다

 /usr/man

 매뉴얼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와 파일이 들어 있다.

 

 디렉토리명 
 /usr/bin  실행 파일을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usr/dict  리눅스 사전이 사용하는 파일들이 들어 있다.
 /usr/include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하는 파일들이 존재한다.
 /usr/lib  /lib의 일부분처럼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usr/local  시스템 관리자가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저장하는데 사용한다
 /usr/man  매뉴얼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와 파일이 들어 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2
 
리눅스는 설치를 하면 최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기 마련인데
바로 루트 디렉토리이다.
 루트 디렉토리는 / 으로 표시한다.
폴더 이름 자체가 / 으로 되어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루트) 디렉토리가 존재하는 반면 /root 라는 디렉토리도 존재하는데
 (루트)디렉토리는 말그대로 루트 디렉토리이고, /root 디렉토리는 관리자 홈 디렉토리를 말한다.
 


 리눅스 GUI 환경에서 파일 브라우저로 /를 검색해본 결과 ( 프로그램 -> 파일 브라우저 )
위와 같이 나온다.
 
리눅스의 파일 브라우저는 윈도우에서 탐색기라고 보면된다.
파일이 여러개있다.
루트 디렉토리 안에 들어있는 또다른 디렉토리들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자.
 
/root : 관리자 홈 디렉토리
/boot  : 커널 디렉토리 (부팅 관련 파일 )
/etc  : 시스템 설정파일 디렉토리
/usr : 응용프로그램 디렉토리
/var : 로그파일, 메일 디렉토리
/lib :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tmp : 임시 디렉토리
/home : 일반계정 홈디렉토리
/dev : 장치파일 디렉토리
/proc : 프로세스 정보 디렉토리
/media, /mnt : CDROM 마운트 디렉토리
  
현재,부모,자식 디렉토리
 
1. 현재 디렉토리 : 현재 디렉토리는 현재 자신의 위치한 디렉토리를 말한다.
" . "로 표현
● 사용자가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2. 부모 디렉토리
" .. "로 표현
● 현재의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는 바로 위의 디렉토리
 
부모 디렉토리 입장에서 하위 디렉토리를 본다면 그 하위 디렉토리는 자식 디렉토리가 되는것임!
  
상대 경로 이름과 절대 경로 이름
 
경로(path) : 파일이 위치한 부분
 절대경로(absolute path) : 루트(/) 디렉토리부터의 위치
 상대경로(relative path) : 현재의 디렉토리부터의 위치
 
예를 들어보자.
/home 디렉토리에 mulhanbangul 이라는 파일이 있다고 치면
절대 경로로 치면 /home/mulhanbangul 이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대경로로 표현하면 ../mulhanbangul 이렇게 된다.
 
절대경로와 상대경로의 쓰임은 다음 포스트에서 명령어를 알아가면서
직접 이해해 볼터니 잘 기억해두자.
 
 
명령어 디렉토리
 
명령어 디렉토리는 명령어가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를 말한다.
한마디로 그 디렉토리마다 명령어 제한이 존재하는데
예를들어 아래처럼 /bin인 경우에는 모든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고있다.
 
/bin : 슈퍼유저(root) + 일반유저 = 모든 사용자가 쓸 수있는 명령어
/sbin : 슈퍼유저(root)용 명령어
/usr/bin : 대부분의 사용자 명령어
/usr/sbin : 시스템 관리용 명령어
/usr/local/bin : 리눅스 OS 설치 후에 추가된 프로그램 명령어
 
 
보면 /bin /usr/bin은 그럼 서로 같은거 아니냐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usr/bin보다 /bin이 더 큰 디렉토리라고 보면된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리눅스 기본 명령어 통해 상대경로/절대경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럼 순서대로 하나씩 차근차근 실습을 하면서 명령어를 익혀보세요

 

리눅스의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open in Terminal'을 클릭하고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된다
passwd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ls
ls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보는 명령어 입니다.
MS-DOS 의 DIR 명령어와 같은 개념이라 보시면 됩니다.


ls 명령에는 옵션이 따라 붙는데, 가장 많이 쓰는 옵션이 -a, -l, -h 입니다.
-a : 모든 파일의 리스트를 보기 위해 쓰는 옵션으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및 숨김파일까지 보여줍니다.
-l : 각각의 디렉토리나 파일의 정보를 함께 보여줍니다. 파일의 권한 및 소유자, 소유그룹, 용량 등을 보여줍니다.
-h : 파일의 용량을 보기 좋은 단위로 보여줍니다. 1967000000 Byte 대신에 1.9G 이런식으로 보여주는거죠.


-rw-r--r--    1 root      root                7.4G 2013-03-05 22:54 sda_disk.img
drwxrwxrwx  2 root      root                4.0K 2013-03-15 20:41 temp


출력결과를 볼 때 권한과 관련 된 부분은 가장 좌측의 열자리 입니다. 1/3/3/3 순으로 끊어서 보시면 되고,
제일 앞에 'd' 가 있는 경우는 디렉토리, '-' 가 있는 경우는 파일 입니다. 그 뒤의 9자리가 권한과 관련된 것입니다.


옵션을 한꺼번에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ls -alh 라고 한다면 모든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주는데, 자세한 정보와 함께 보기좋은 단위의 용량으로 리스팅 해줍니다.

cd
DOS에서의 cd와 같은 것입니다.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는 cd .. (한칸 띄워야 합니다) 이라고 해주면 되고, 루트로 가려면 cd / 이라고 해주면 됩니다.
root 아래의 pogodata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cd /pogodata 라고 해주면 되겠습니다.
하위 디렉토리로 갈 때는 cd 해당폴더명 이렇게 해주면 이동합니다.


pwd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 입니다.


mkdir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 입니다.
mkdir test 라고 하면 하부에 test라는 디렉토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mkdir /pogodata/movies 이런식으로 디렉토리를 만들어 줄 수도 있습니다.
유용한 옵션으로는 -m 옵션이 있는데, 퍼미션 까지 지정하여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mkdir -m 777 /pogodata/movies 라고 한다면, root 하부의 pogodata 하부에 movies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777 권한을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nano
텍스트 파일의 편집에 이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nano (편집할 파일명) 의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nano /etc/fstab 이런식으로 절대경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해당하는 위치에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파일을 생성하는 역할도 해줄 수 있습니다.


fdisk
fdisk (디바이스명) 으로 입력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파티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fdisk /dev/sda 라고 해주면
sda 에 잡혀있는 디바이스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스왑파티션의 설정도 가능합니다


-l 옵션을 추가하여 fdisk -l 이라고 해주면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여 줍니다.
chmod 777 /pogodata 라고 하면 /pogodata 디렉토리의 권한을 777로 설정해 주는 것입니다.
-R 옵션이 들어가면 하부 디렉토리까지 적용이 가능합니다.


chown
소유자나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chown pogo_user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자를 pogo_user 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chown :family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그룹을 family 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그룹 이름 앞에 콜론을 찍습니다.
chown pogo_user:family test
- test 라는 파일의 소유자, 소유그룹을 한꺼번에 변경할 수 있으며,
  소유자를 pogo_user 로 바꾸고, 소유그룹을 family 로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which
명령어 파일의 경로를 알려줍니다.
which (찾을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whereis
명령어의 실행파일위치, 소스위치, 메뉴얼 페이지 파일위치를 찾아주는 명령어로써,
명령어의 위치만을 찾아주는 which에 비해 포괄적인 명령어 입니다.
whereis (명령어) 의 형식입니다.


whatis
명령어의 역할을 간단히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whatis (명령어)


--help
명령어 뒤에 붙여주면 간단한 기능 및 옵션에 대하여 알려줍니다.
(명령어) --help 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man
명령어의 메뉴얼 파일을 보여줍니다.
man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며, 자세한 메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n rtmpdump > rtmp.txt 의 형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rtmpdump 의 메뉴얼을 rtmp.txt 파일로 저장하여 줍니다.


| more
사용하는 명령 뒤에 붙여서 쓰는 것으로 more 앞에 있는 '|' 은 소문자 L이 아니라,
C:\> 에 사용되는 \ 문자와 같은 키 위에 있는 문자로 '쉬프트 + \' 로 입력하게 됩니다.
출력의 내용이 너무 길어 한페이지에 다 볼 수 없을 때 출력결과를 끊어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df (Disk Free)
df 명령은 디바이스의 용량 및 마운트 경로, 파티션 정보 등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h 옵션을 사용하면, Kilo, Mega, Giga 등의 보기좋은 용량으로 보여줍니다.


mkfs
mkfs -t [파일 시스템 타입] [디바이스명] 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일 시스템을 작성하고 포멧을 해줍니다.
mkfs -t ext3 /dev/sda (mkfs.ext3 /dev/sda 라고도 쓸 수 있습니다.) 라고 한다면
/dev/sda 디바이스를 ext3 파일 타입으로 포멧하겠다는 뜻이 됩니다.


fsck
fsck -t [파일 시스템 타입] [디바이스명] 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손상 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fsck -t ext3 /dev/sda 같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운트를 해제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fsck.ext3 /dev/sda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ptime
시스템의 부하율을 보여줍니다.
12:54:21 up  3:28,  2 users,  load average: 0.00, 0.03, 0.04
이런 형식으로 출력되며
맨 끝의 3개의 숫자들은 지난 1분, 5분, 15분동안의 시스템 부하율을 각각 평균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top, htop
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명령입니다.


free
메모리의 사용현황을 보여줍니다.


tar
묶을 때 : tar cvfz (압축파일.tar.z)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풀 때 : tar xvfz (압축파일.tar.z)


옵션
c :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어 tar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 (압축하지 않고 묶기만 하는 것)
f : tar파일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포함
v : 파일들의 내용을 보려고 할 때 사용
x : 묶인 파일을 다시 풀어줄 때
z : 압축과 관련 된 옵션 (z 옵션이 들어가면 파일 확장자가 tar.z 가 되고, z 옵션이 없으면 tar 가 됩니다)


halt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halt 명령 후 10초 정도 지나면 usb의 led 가 깜빡거리다가 꺼지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후에 플러그를 빼주시는 게 좋습니다.


reboot
시스템을 재부팅 합니다.


* 파일의 삭제, 복사, 이동 등의 명령어는 왠만큼 FTP 클라이언트로 대체 가능하여 제외 하였다.
 
리눅스의 기본 파일 시스템 및 계층구조
1. 파일시스템(/)
'/'은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로 리눅스의 모든 디렉터리들의 시작점이다.
2. /boot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존재하는 디렉터리이다.
3. /bin
기본적인 명령어(실행파일)가 저장된 디렉터리이다.
4. /dev
시스템 장치(device)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이다.
5. /etc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터리(서비스)이다.
6. /home
일반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생성 위치이다.
7. /lib
커널모듈파일과 라이브러리파일(언어소스파일)들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8. /lost+found
파일시스템마다 존재할 수 있는 디렉터리로 파일시스템 체크(점검) 및 복구 유틸리티 실행 후 주로 생성되는 것이다.
9. /media
로컬 장치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10. /mnt
원격 장치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11. /proc
가상화 파일시스템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커널, 프로세스등)
12. /root
루트(root)의 홈 디렉터리이다.
13. /sbin
시스템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root 만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14. /tmp
임시저장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 일명 "공용디렉토리" .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15. /usr
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터리이다.
16. /var
시스템로그파일,메일파일등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로 시스템운용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디렉터리이다.
이렇듯 리눅스의 계층구조는 최상위 디렉터리 '/' 아래로 'boot', 'bin', 'dev', 'mnt', 'sbin' 그외 여러 하위 디렉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리눅스 Vi / Vim 편집기 명령어 익히기

 

 

Linux vi편집기 명령어  

리눅스에서 작업을 도와주는 리눅스 단축명령어을 이용하며  편합니다.
vi 편집기를 처음시작하면 명령어 모드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문자입력시 사용되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로 들어갑니다. 이 후 명령어모드와 입력모드간의 변경은 esc키를 이용하여 변경하며
명령어모드에서 :키를 입력하면 마지막 라인모드가 됩니다.
아래 vi명령어를 정리해 두었으며  되로록 자주 사용하면서 습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vi , vim 편집기 명령어 ( vi를 더 개량 한 것이 vim 편집기 이다.

1. vi 시작 및 종료
   vi  filename  :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
   vi file1 file2 ... filen   :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편집
   vi -r filename   :  비정상적인 vi 모드의 종료 등에 의한 편집파일 복구모드에서 작업
 
   [vi 종료 및 파일 생성]
   :q   -   수정하지 않았을 경우 종료하기
   :q!  -    수정한 것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기
   :w   -    저장하기
   :w!  -    읽기 전용의 파일을 저장하기
   :wq-    저장하고 종료하기
   ZZ  -   저장하고 종료하기
   :w new_file_name    -   새로운 파일이름으로 저장하기
   :w %.new   -   현재 파일 이름에 .new를 붙여서 새로운 파일로 저장
   :n,$ w file_name   -   n줄부터 끝줄까지 file_name으로 저장하기
   :.,n w file_name   -   현재줄부터 n줄까지 file_name으로 저장하기
   :n1, n2 w file_name   -   n1줄부터 n2줄까지 file_name으로 저장하기
   :n1, n2 w >> file_name  -   n1줄부터 n2줄까지를 file_name으로 추가하기
 
   [파일관리]
   :w [file-name]   -   현재 내용 저장
   :w! [file-name]   -   기존의 파일에 덮어 쓰기
   :e file-name   -   파일 불러오기
   :e! file-name   -   현재 내용을 저장않고 새 파일 불러오기
   :e#   -   직전 편집 파일 불러오기 -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 작업시
   :r file-name   -   현재 커서 위치에 파일 내용 삽입
 
2. 모드전환
   명령모드 --->  입력모드 : a, A, i, I, o, O, ....
   입력모드 --->  명령모드 : Esc Key
 
3. 편집
   -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해선 먼저 입력 모드로 변경해야 한다.
   - vi 편집기에서 명령모드에서의 키는 다음의 약어를 암기한다.
   d : delete 삭제
   c : change 변경
   y : yang 복사
   p : paste 붙이기
   w : word 단어
   u : undo 취소
   $ | ^ : 줄의 끝 | 시작
 
 
   [텍스트의 추가 및 삽입]
   i (insert)   -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에 새로운 텍스트를 끼워 넣는 기능
   I (insert)   -   현재 줄의 처음부터 새로운 텍스트를 끼워 넣는 기능
   a (append)   -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 다음부터 입력하는 기능
   A (append)   -   현재 줄의 끝에 텍스트 입력하는 기능
   o (open)   -   현재 커서가 있는 다음 줄에 행을 삽입하여 편집
   O (open)   -   현재 커서가 있는 앞줄에 행을 삽입하여 편집
 
   [문자 복사 및 삭제와 복구]
   x  -   한번에 커서 뒤의 한 글자를 삭제
   X  -   한번에 커서 앞의 한 글자를 삭제
   숫자1, 숫자2d   -   파일의 숫자 1행에서 숫자 2행까지 삭제
   dd   -   한 라인을 삭제하고 그 내용을 버퍼에 저장
   ndd  -   현재 line부터 n개의 line을 지우고 그 내용을 버퍼에 저장
   dw   -   한 단어를 삭제
   D   -   현재 커서의 위치에서 그 행의 끝까지 삭제
   u  -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을 취소하고 명령 실행 이전으로 복구
   U  -   u에 의해 취소된 명령 재실행
   ^r  -   u에 의해 연속적으로 취소된 명령을 연속적으로 재실행
   nY  -   다음 줄부터 n줄을 버퍼에 복사
   yw   -   한 단어 복사
   y$   -   커서 위치에서  그 줄 끝까지 복사
   yO   -   커서 위치에서 그 줄 처음까지 복사
   yG  -   커서 위치에서 문서의 끝까지 복사
   :n1,n2 y  -   n1번 line에서 n2번 line까지를 버퍼에 저장
   p | P   -   버퍼의 내용을 현재 line 뒤/앞에 붙인다
   :n1,n2 t n3   -   n1번 line에서 n2번 line까지를 n3번째 line 뒤에 복사
   :n1,n2 m n3   -   n1번 line에서 n2번 line까지를 n3번째 line 뒤에 이동
 
4. 이동
   ^은 Control Key를 의미하고, 아래에서 ^?은 ^과 다른 키(?)를 함께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n은 숫자를 의미한다.
 
   [커서의 이동]   -   커서의 이동은 명령 모드에서 가능하다.
   한글자 이동   -   h(왼쪽으로 한 글자 이동)  l(오른쪽으로 한 글자 이동)
   한 행 이동   -  j(아래로 한 행 이동)  k(위로 한 행 이동)
   한 화면 이동   -   ^f/^b: 한 화면 아래/위로 이동(forward/backward)
   반 화면 이동   -   ^d/^u : 반 화면 아래/위로 이동(down/up)
   한 단어 이동   -   w,W(한 단어 앞으로 이동), b, B(한단어 뒤로 이동),e(단어의 끝으로)
   행 지정 이동   -   nG(지정한 행으로 커서를 이동)
 
   [커서 이동]
   G  -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
   nG  -   n번째 줄로 이동
   :n  -   n번째 줄로 이동
   (, n(   -   현재 문장의 선두(위의 n번째 선두)로 이동
   ), n)   -   다음 문장의 선두(아래의 n번째 선두)로 이동
   {, n{   -   현재 문단의 선두(위의 n번째 선두)로 이동
   }, n}   -   다음 문단의 선두(아래의 n번째 선두)로 이동
   [ + [   -   이전 블록({})의 처음으로 이동
   ] + ]   -   다음 블록({})의 처음으로 이동
   ^ (6)   -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맨앞으로 이동(빈칸무시)
   O(숫자)   -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맨앞으로 이동(공백을 제외한 맨앞)
   $   -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맨뒤로 이동
   H | M | L   -   화면상에서 커서를 처음/중간/마지막 줄로 이동
 
   [검색 & 치환]
   :s/string  -   string을 탐색
   /string  -   string이라는 문자를 현재의 위치에서 탐색
   ?string   -   string이라는 문자를 현재의 위치에서 역으로 탐색
   n   -   한번 탐색한 문자열을 연속적으로 탐색
   N   -   한번 탐색한 문자열을 역으로 연속적으로 탐색

   [문자 치환]   n은 숫자를 나타냄
   rc  -   현재 문자를 c로 치환
   R  -   현재 커서부터 Esc 문자가 입력될 때까지 치환
   s   -   현재문자를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
   ns   -   현재부터 n문자를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
   S   -   현재줄을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
   [단어 치환]   n은 숫자를 나타냄
   cw  -   한 단어를 치환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ncw  -   현재부터 n단어를 삭제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cc   -   현재 줄을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
   ncc   -   현재 줄부터 n줄을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
   C   -   현재 커서부터 줄 끝까지의 내용을 삭제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nC   -   현재 커서부터 n줄까지 내용을 삭제하고 입력 모드로 전환
 
5. 환경 설정 및 기타 기능
   [set 및 기타]
   :set nu | nonu   -   line번호를 보여/안보여 준다
   :set ai | noai   -   자동 들여 쓰기/취소
   :set shiftwidth=4   -   들여쓰기 폭을 4문자로 설정
   :set cindent   -   C프로그램을 작성시 활용할 수 있는 자동 편집 기능
   :set all   -   set 변수 보기
   :set  -   현재 설정된 set 상태
   :syntax on | off\   -   색문자의 사용 on|off
 
   [환경 설정]
   set 등의 환경 초기 설정을 지정함으로 하여 vi 실행시에 초기 설정에 의한 작업 환경 홈디렉토리에 .exrc
   또는 .vimrc에 사용하고자 하는 설정을 편집한다.
 
   [태그 기능]     지정된 표시의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
   m + a   -   현재의 위치를 a위치로 표시(marking)
   m + c   -   현재의 위치를 c위치로 표시(marking)
   ' + a   -   a 표시된 위치로 이동
   ' + c   -   c 표시된 위치로 이동
   ' + '   -   '를 연속 두 번 누르면 이전 작업 위치로 이동
 
   [문자 buffer 기능]     각 문자에 대해 버퍼로 활용 가능
   " + a + y5y   -   문자 a에 현재 줄부터 5줄을 저장
   " + a + p   -   문자 a에 저장된 5줄의 내용을 붙여 넣기
 
   [기타]
   J   -   현재 줄과 다음 줄을 합침
   ~  -   대소문자로 상호 변환
   ^v + m   -   제어문자인 ^M문자를 현재의 위치에 삽입
   .(dot)   -   조금전 실행한 기능을 반복 실행
   ctrl + g   -   편집 중인 파일 이름과 현재 위치를 확인
   ctrl + l   -   Refresh (화면갱신)
   ctrl + 6   -   2개의 파일을 동시에 편집하고 있을 때 상호 이동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리눅스(LINUX) 운영체제 이해와 와 리눅스 프로그램의 기초


컴퓨터 운영체제의 하나 . 1991 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 재학중이던 리누스 토발즈 (Linus Tovalds)에 의해 개발돼 그해 11 월 버전 0.10 이 공개되면서 보급되기 시작되었으며 리눅스는 중대형 컴퓨터의 운영체제인 유닉스를 응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유닉스와 비슷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리눅스의 가장 큰 매력은 프로그램의 소스를 공개하여 누구나 무료로 자기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오픈소스 ’ 정신을 바탕으로 되있다 .
리눅스는 공개용 프로그래밍이라 윈도우와는 달리 여러 가지 변형된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며 , 무료로 제공된다는 이점 때문에 많은 개인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 
오늘은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필요한 리눅스 자격증 취득은 국제자격증 시험센터를 갖추고 있는 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 수료하시고 시험응시와 자격증 수료까지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대부분 C 언어 C++ 그리고 자바 , JSP 컴퓨터 언어를 다루며 개발 환경 운영체제는 리눅스와 윈도우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요즘은 윈도우보다는 리눅스를 많이 활용하게 된다 .그만큼 많은 개발자와 프로그램 개발자로 진출하려는 학생과 기업에서 오픈소스기반 리눅스를 많이 활용 고 있기 때문이다 . 리눅스는 대표적으로 임베디드 프로그래밍과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그리고 현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빅데이터전문가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하둡 "이라는 프로그램에서도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으로 개발을 하고 있다 . 또한 소프트웨어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등등 많은 IT 전공 대학교에서도 리눅스는 필히 배우고 졸업하는 전공 필수 또는 전공 핵심 과목으로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다 . 그래서 IT 전공 대학교를 입학하는 많은 젊은 학생들이 입학전 전공대비용 C 언어 C++ 자바와 리눅스를 많이 배우고 입학을 하고 있다 . 또한 개발자들도 실무 기술은
있지만 다른 회사로 이직은 한다거나 취업을 도전할 때 리눅스 자격증 취득요구하기도 하기 때문에 많이 리눅스를 배우고 있다 .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모든 소스가 오픈되어 있기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또한 앞에 말했듯이 다중사용자 , 다중 작업을 지원하기 때문이고 다중 사용자와 다중 작업 시스템 특징으로는 서버를 운영하기에 적합하고 , 계정 , 비밀번호를 요구합니다 . 인터넷 웹사이트의 경우 화면에 광고와 뉴스 회원가입이 존재합니다 . 웹사이트에서 광고 , 뉴스 , 회원가입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최고 권한자가 된다면 서로의 영역에 침범이 가능하게 됩니다 . 따라서 , 그러한 상황에 대해 각각의 관리자의 계정 , 비밀번호가 존재해야하고 접근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 리눅스에서는 루트가 이런 권한을 주게 되어 있습니다 .
 
리눅스는 얼마 전부터 대세라고 언능 언능 공부하라고 하는데 사실 아직까지도 실무에서는 윈도우를 많이 보게된다
윈도우가 리눅스보다 많이 친근하고 회사 담당자 분들 또한 관리하기 위해서 윈도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러나 리눅스는 가벼운 운영체제로서 활용만 잘한다면 ,윈도우보다 굉장히 뛰어난 가용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는 리눅스가 대세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포토샵 툴을 통해 CS7 이해하기

 

 

포토샵 CS7 버전 기본 툴 이해하기
 
◈ 기본적인 툴의 이해는 책과 인터넷등을 이용해서 하시면 10분이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 기본적인 툴로 만들 수 있는 건 극히 한정적입니다. 오늘은 그렇게 배운 툴을 이용해서 보다 빠르게 응용해서 포토샵 작업 할 수 있는 포토샵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포토샵 도구툴에는 Quick seletion Tool이 있습니다. 흔히 사용하는 Magic Tool과 같은 메뉴에 있죠. 이것은 빠르게 레이어를 딸 수 있게 합니다. 하지만, 주변 색이 비슷하다면 이것 또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변 배경색과 확실하게 구별이 될 때 이 툴을 사용하시면 보다 쉽게 원하는 부분을 딸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선택한 부분(영역)으로 레이어창 하단의 반원을 클릭하시면 여려 효과를 주실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Photo Filter를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hoto Filter는 원하는 부분의 색상을 조정해주는 기능입니다. 원하는 부분에 세피아효과나, 그레이효과 즉 화면 전체에 빨간빛이라던가, 파란빛이 돌 수 있게 만드는 기능입니다.
 ◈ 이렇게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물론 퍼센트를 정해서, 진함과 연함의 구분도 이루어지게 됩니다.
 ◈ 또 눈 여겨 볼 효과로는 Threshold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효과는 이미지의 중간 톤을 없애고, 흑백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이렇게 중간 톤의 색상이 사라지고 흑백으로 사진이 변해버렸습니다. 역시 조절을 통해 세밀하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흑백화 효과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Threshold가 하나의 방법이죠
 

 

◈ 그 다음으로 툴중에 하나인 복제툴입니다. Clone Stamp tool은 그림 속 이미지를 그대로 복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화면지 내에는 오렌지 카라멜이 있는데요, 리지가 2명입니다. 바로 이 Clone Stamp tool로 작업을 한 결과입니다. Alt를 눌러 복사할 영역을 선택하고 복제하고자 하는 영역에서 드래그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그립니다. 그러면 복사 완료!
◈ 화면이 너무 밝거나, 어둡다면 Level효과를 적용해 보세요! Adjustments에는 Levels값 뿐만 아니라, 밝기, 색감, 노출 등 정말 다양하게 이미지를 조정 할 수 있으니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Levels의 경우에는 화면의 밝기를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 역시 Auto Tone, Contrast, Color를 통해 자동으로 이미지를 조정 할 수 있습니다.
◈  포토샵에는 또 하나 재미있는 기능입니다. Puppet Warp 기능인데요, 화면속의 그림을 왜곡시키는 기능입니다.

 


◈ 이렇게 말이죠! 리지가 뚱뚱하게 변해버렸네요, 이 기능은 관절을 움직일 때 주로 씁니다. Puppet의 한글말은 인형, 꼭두각시를 의미하는데 이렇게 효과를 적용해보니 진짜 꼭두시각시를 조종하는 것 같네요.
  ◈ 시험기간 대비, 공부한 포토샵 수업을 짧게나마 올려볼 예정입니다. 많은 분들이 포토샵 딱 툴까지만 배우고 어떻게 해야하나 막막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런 강의들을 보고, 적용, 실습 함으로써 향상되는 실력을 직접 보실 수 있을겁니다. 그럼 이어서 빠르게 배우는 포토샵 기능 2탄으로 만나요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포토삽(photoshop)단축키 모음


 


포토샵 기초 외워두면 편한 포토샵 단축키 모음
포토샵 단축키는 몇 가지만 알아두면 작업 속도도 빨라질 뿐만 아니라 재미가 있을뿐더러
작업속도가 배나 빨라질 수 있어 좋습니다.
 
◈ 새로 만들기 : Ctrl + N
◈ 이미지 열기 : Ctrl + O
◈ 이미지 저장하기 : Ctrl + S
◈ 이미지 인쇄하기 : Ctrl + P
◈ 작업하는 파일 닫기 : Ctrl + W
◈ 포토샵 종료 : Ctrl + Q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Ctrl + Shift + S
◈ 웹용으로 저장 : Ctrl + Shift + Alt + S
◈ 전단계로 돌아가기 : Ctrl + Z
◈ 복사하기 : Ctrl + C
◈ 붙여넣기 : Ctrl + V
◈ 잘라내기 : Ctrl + X
◈ 자유변형 : Ctrl + T
◈ 한단계전으로 돌아가기 : Ctrl + Alt + Z
◈ 선택한 영역 붙여넣기 : Ctrl + Shift+ V
◈ 칠하기 : Shift + F5
◈ 전체 선택 : Ctrl + A
◈ 선택 영역 해제 : Ctrl + D
◈ 재선택 : Ctrl + Shift + I
◈ 눈금자 열기 : Ctrl + R
◈ 안내선 잠그기 : Ctrl + Alt + ;
◈ 실제 픽셀 크기 : Ctrl + 1
◈ 화면크기에 맞게 조절 : Ctrl + 0
◈ 확대 : Ctrl + [+]
◈ 축소 : Ctrl + [-]
오늘은 포토샵 기초를 주제로 외워두면 편한 포토샵 단축키 모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파일, 편집, 선택, 보기! 이렇게 네 가지 단축키만 공부해도 작업 효율은 두배로 늘어난답니다
참고해서 작업하시면 모두들 포토샵 고수가 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포토샵(PhotoShop)의 기능
 


 포토샵 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한종류로 영문으론 Photoshop 이라고도 하며 여러 버전이 많은데 가장 최신버전은 Photoshop CS7가 출시 되었으며 말에는 큰 뜻이 없고 말그대로 사진점 (Photo+ shop) 그런 의미가 됩니다.
 
유저들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JPEG, GIF 등의 이미지파일을 편집하거나 형하는데 쓰입니다..
흔히 한국인들이 '포샾'한다고 표현을 자주 쓰며 포토샾의 기능중에 화이트 발란스와 콘트라스트 기능이있는데
조절을 잘하면 사진에 얼굴이 환해지는 효과 등이 있습니다.
미국 어도비 시스템스사에서 개발한 2차원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 원래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영상 합성, 색상 분해, 컬러 그림 그리기 등에 사용하던 전문가용 소프트웨어였으나 이후 IBM PC를 위한 윈도용도 출하되었다. 컴퓨터 그래픽 작업에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포토샵은 어도비사의 프로그램으로 많은 분들에게 친숙한 그래픽 도구이며
오늘은 기초적인 포토샵 cc버전 강의가 아닌 많은 분들이 모르고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을 활용하는 법을 알아겠습니다. 폴리 스쿨에는 이렇게 오늘 소개하는
그래픽과 웹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 , MS오피스 다루는 강의 등 폴리스쿨이라는 말에 걸맞게 컴퓨터를 통해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앞으로 이 블러그를 통해 배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포토샵인강을 함께 보도록 하였으니, 포토샵, 일러스트 카테고리에 들어와 다양한 포토샵관련 내용을 알아 보겠습니다.
첫 번째 기능중의 하나인 레이어 이빈다.
레이어의 계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포토샵에서 화면 우측 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기본적으
로 Background 라는 레이어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하게 되면 그 위에 브러쉬나 연필 툴 등 여러가지 툴을 이용해 사진을 수정하거나 덧붙일 수 있으며 투명 용지를 올려놓은 것처럼 아래의 사진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레이어 스타일이나 마스크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적절히 꾸며 주는데도 이 레이어가 기본이 됩니다, 레이어를 알고나면 포토샵이 한결 수월해 질 것입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투잡(알바/부업)으로 월급 많큼 수익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접속하셔서 상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믿음의 재택부업회사)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네트워크 장비들에 관한 이야기
  

 


 
예전에는 랜 카드 세팅을 수동으로 다했지만 지금은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해 주어서 랜 카드를 꽂고 부팅시키면 인
식하고 설치, 연결되었고 랜카드  종류에는 데스크탑용과 PCMCIA방식으로 노트북용이 있다.
데스크탑용은 PCI방식을 가장 많이 쓰고 이전에는 ISA방식을 많이 사용했으며 서버급 PC에서는 EISA방식의 버스를 사용되고 있다. 속도에 따라 크게 10메가, 100메가, 10/100메가, 1기가로 나누는데 지금까지는 10Mbps용 랜카드를
많이 사용하고 요즘은 100Mbps용이나 10/100Auto-sense카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접속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TP포트를 가진 랜카드, BNC나 AUI포트를 가진 랜카드, 광케이블과
접속하는 랜카드로 나눌수있다. 예전에는 AUI, BNC 방식을 많이 사용했었고 한동안은 콤보방식도 사용한다.
하지만 요즘은 UTP타입을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허브(HUB) -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되어있고 개수에 따라 몇포트다라고한다
이더넷용이냐, 토큰링용이냐가 있고 또 이더넷 허브도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10Mbps)와 패스트
(100Mbps)허브가 있다. 허브는 네트워크에서 약방에 감초처럼 없으면 안 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
중 하나이다. 허브를 한마디로하면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할수있는데 포트가 여러개 달린 장비인데,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
리피터라는것은 데이터 전송시 거리의 제약 때문에 중간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다른 쪽으로 전달해 주
는 역할을한다.
 


 
허브를 고를때는 안정성을 가장중요하게보고 사후 AS 또한 중요하다. 한 번의 콜리전이 발생하면 연결
되어있는 모든 PC들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허브만으로 연결하는것은 한계가 있다.
허브의 종류에는 인텔리전트(Intelligent)허브 : NMS(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통해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할수 있고 앉
아서 멀리 있는 허브의 동작을 감시하고 조정까지도 가능하다. 문제의 PC가 연결된 포트를 찾아내어 자
동으로 Isolation(현 네트워크에서 분리시켜서 따로 고립시킴)시켜 버린다. 또 분리된 포트는 허브에서 램프로 표시되기 때문에 바로 알수 있고 이기능을 Auto Partition이라한다.
더미(Dummy) 허브는 세미더미 허브  더미 허브인데 인텔리전트허브와 연결하면 자기도 인텔리전트 허브가되며 스태커블 허브라는것은 쌓을수 있는 허브를 말한다.
허브의 끝과 스위치의 시작은 허브의 한계에서 아무리 빠른속도를 쓴다고 하더라도 어느 한순간에는 한 녀석만이 데이타를 보낼수 있다는거..즉 허브에 연결된 한 피시에서 발생하는 콜류젼이 다른 피시들에도 영향을 주는 콜류젼 도메인(영역)이 그 허브에 연결된 모든 피시들이다 그래서 콜류젼 도메인이 너무 커지는 상황을 항상 조심해 야 한다 콜류젼 이너무커지게되면 콜류젼에 의해 영향을 받는 피시가 너무 많아지고 또 통신의속도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 즉 콜류젼 도메인을 작게 나누기 위해서 나온 장비가 바로 스위치 인데 어디서는 스위칭 허브라고도 하는데 뒤에 허브라는 말이 사람들로하여금 조금 헷갈리게 한다. 이게 허븐지 스위친지 암튼 스위치란 말이 들어가면 일단 스위치라고 생각. 스위치는 예를 들어 1
번 포트에 연결된 피시가 2번 포트에 연결된 피시와 데이타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3번 포트에 연결된 피시와 4번 포트에 연결된 피시가 서로 데이타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 장비 이다. 즉 1,2번 사이에서 통신이 일어나면 나머지는 기다려야하는 허브와는 달리 다른녀석들도 동시에 통신이 가능한것이다. 이게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다. 그래서 우린 스위치의 경우 각각에 연결된 피시가 독자적으로10Mbps 또는 100Mbps의 속도를 갖는다고 이야기 한다. 허브보다는 스위치가 좋은데 콜류젼도메인을작게 나누어주기 때문이다
 


 
브리지/스위치의 기능은  Learning 브리지나 스위치는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A라는 PC가 통신을 위해 프레임을 보내면 이
PC의 맥 어드레스를 읽어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하고 나중에 참고하여 다리를 건너게할지를 결정한다.
Flooding는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든 포트로 뿌리는 것을 의미한다.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Forwarding은 브리지가 목적지의 맥 어드레스를 자신의 브리지 테이블에 가지고 있고, 이 목적지가출발지의 목적지와 다른 세그먼트에 존재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한마디로 목적지가 어디 있는지를 알고있는데 그 목적지가 다리를 건너가야만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해당 포트로만 프레임을 뿌린다.
Filtering는 브리지를 못 넘어가게 막는다는 뜻인데, 브리지가 목적지의 맥 어드레스를 알고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 상에 있는 경우 브리지를 건가지 않아도 통신이 일어날 수 있기에 이때 필터링을 하게된다. 이 기능 때문에 허브와는 다르게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수 있다.
ging은 나이를 먹는다는 말인데 새로운 맥 어드레스를 기억하는데 디폴트는 5분(300초 값조정가능)이다. 에이징이랑 이것에 관련된 타이머이다. 어떤 맥 어드레스를 브리지 테이블에 저장하고 나면 그때부터 Aging이 가동되어서 저장한 후 300초가 지나도록 더 이상 그 출발지 주소를 가진 프레임이 들어오지 않으면 브리지 테이블에서 삭제시킨다.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은 1. 이름이 다르다.2. 가격이 다르고 스위치가 브리지보다 비싸다3. 인기도가 다르다. - 스위치가 브리지보다 잘팔린다. 실무적인차이점에 있어서는 1. 스위치는 처리 방식이 하드웨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레임을 처리하는 브리지에 비해서 훨씬 빠르다.2. 브리지는 포트들이 같은 속도를 지원하는 반면, 스위치는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3. 스위치는 브리지에 비해 제공하는 포트 수가 훨씬 많다. 스위치의 경우는 cut-through or store-and-forward방식을 사용하는데 비해서 브리지는 오로지 store-and-forward방법만 사용한다.
* store-and-forward : 스위치나 브리지가 일단 들어오는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 다음 처리를 하는방식
* cut-through : 스위치가 들어오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만을 본 다음 바로 전송 처리를 시작하는 방식
* Fragment-Free :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전체 프레임이 다 들어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 컷스루 방식을 닮았지만 처음 512비트를 보게되고 에러 감지 능력이 우수하다.
 Looping은 프레임이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의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
용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녀석들이 계속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
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브리지나 스위치에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하면
반드시 루핑이 발생한다.
자동으로 루핑을 막아주는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이 필요하다.
폴트 톨러런트(Fault tolerant)는 네트워크 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 것을 말한다.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는 로드를 분산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터넷 회선 하나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대신 인터넷 회선을 두 개 사용하는것이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들이 두 라인 중 하나르 선택해서
이용하기 때문에 로드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내컴퓨터 IP주소 확인방법, 공유기 IP주소확인방법 

 


네트워크를 하다보면 가끔은 본인의 컴퓨터나 핸드폰이 ip 주소를 확인해야 할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컴퓨터 ip주소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그러나 아피주소를 타인에게 함부로 알려주는것은ㄴ 내 집 주소를 알려주는 것과 같이 위험하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내집 주소를 알려 주면  편리하게 도움을 받을 수 도 있겠지만 아피주소를 아무에게나 알려주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겠다
이제 아이피주소를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작버튼을 누를 후 샐행을 클릭하거나 키보드버튼의 윈도우 키+R를 눌러서 CDM를 입력하면된다
누르면 검정색 창이 뜨는 데 이것을 도스창 또는 커맨드 창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보면 커서가 깜박깜박하는데
여기에 ipconfig를 기입하고 엔터를 치면  창에 많은 글씨들이 나타나느데
명령프롬프트 아래 이미지 참조 
 


위 이미지에서 보면 IPv4주소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본인의 컴퓨터의 IP주소 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NAVER에서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IP주소확인]이라고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아매의 이미지 처럼 나타면
아피주소 조회  그리고 이 컴퓨터의 IP주소는 *** *** *** *** 입니다 라고 나타납니다
이렇게 해서도 자신의 컴퓨터 IP주소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차이점을 말씀드리며
CMD 확인하는 방법에서는 모자이크를 살짝 덜한 부분이고
네이버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런데 CMD에서는 19**.로 시작하고 네이버는 11*.으로 시작해서 서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다른 컴퓨터로 한것이 아니라 공유로된 컴퓨터에서는 가상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19*.로 시작되는 주소가 CMD에서 나오는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가상이 아닌 진짜 내 컴퓨터의 ip 주소는 네이버에서 확인한 IP주소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다른 방법이 있는데 익스플로러을 키고 난후에 주소창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공유기의 설정화면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공유기가 할당 받은 공용 가상 IP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화면은 공유기 마다 다를 수 있기때문에  각자가 찾아보면 알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

네트워크공유하는법, 컴퓨터공유하는 법, 프린터공유하는법, 공유설정
 


 

 

네트워크상에 공유를 하시려면 2가지가 준비되어야합니다.
첫째가 공유기르 사용하여 인터넷 라인을 공유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컴퓨터로 나누어져 있어야한다
둘째 컴퓨터의 이름이 달라야 한다
큰 사무실에서는 컴퓨터 마다 이름을 숫자로 부여하여 사용하면 편리하다.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은 바탕화면/내컴퓨터/ 속성을 클릭하시면 컴퓨터 이름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정보 / 컴류터이름/ 클릭하면 컴퓨터의 이름을변경할 창이 나타납니다.
그창에서 컴퓨터 이름과 작업구룹을 workgroup (그룹명은 컴퓨터마다 같아야 한다
일단 네트워크 소규모설치
일단 바탕화면에 내 네트뤄크 바탕하면에 ㄴ 네크워크가 없다면
시작 / 내컴퓨터네크워크 환경을 클릭시고
화면에 좌측에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치)를 클릭하시면 창이 드는데
여깃 연결방법을 선택하십시오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첫번째 라디오버턴을 체크합니다.
그리고 다음을 누르며 설정마법사가 나오는데  네트워크 이름 / 작업구릅이름을 넣어 주면 됩니다.
네트워크 마법사 에서 파일 미 프린터 공유 창이 나오면 다시 파일 및 설정 마법사에서
또 원하는 옵션을 선택한다.
다음창에서 [마법사를 끝냄, 다른 컴퓨터에서 마법사를 실행할 필요 없음]의 라디오옵션을 선택하여
공유설정을 마침니다. 이 과정을 공유하고자 하는 모든 컴퓨터에 꼭 해주어 하여 한다 
 
 

* 이제 내컴퓨터을 열엉 공유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공유문저 폴더를 보면 손모양의 공유설정이 되어 있음을 볼 수있습니다.
손모양으로 바꿔이있어야 공유가 되어 있다는 겁니다.
사실 공유문서 공유는 되어 있어도 자 사용하는 않습니다.
그럼 이제 원하는 폴더 및 드라이브를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바탕화면의 내컴퓨터를 열러 공유폴더를 오른 쪽마우스 열면 [공유 및 보안]이 보일 것입니다.
로컬디스크 등록정보 / 공유탭을 누르시면
[허가되지 않은 액세스부터 컴퓨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브루트를 공유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위허을 감수하고 드라이브류트를 공유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누르시면
화면이 바뀝니다.
네트워크 공유및 보안] 아래 보시면 ^체크할 수 있은  / 네트워크에서 이 폴더를 공유(s) 공유이름 
그 아래 ^ 네트워크 사용자가 내 파일을 변경할 수 있음 을 체크합니다.
그리고 [적용] [확인]하고 나오면 됩니다.
이렇게 하시면 원하시는 폴더든 드리아브든 원하는 곳을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했다면 C: 드라이브에 손으로 받치고 있는 공유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다른 컴퓨터도 네트워크 소규모 설치 후 원하시는 드라이브와 폴더를 공윻시켜 보세요
이제 네크워크에 들어가서 네트워크 공유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프리터 공유를 해보겠습니다.

다시 네트워크 환경으로 가서 / 좌측하단에 보시면 [기타 위치]아래 프린터 및 팩스 가 있습니다
그럼 프런터와 팩스를 공유시켜 보겠습니다.
컴퓨터와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부터 설명해 보면  컴퓨터와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첫째 네트워크 소규모 설치를 하셨다면 할일은 많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대로 프린터 및 팩스를 클릭하고 나면 프린터모양이 보이며 손모양이 받치고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인데
흐리하게 되어있으면 전원이 꺼져 있거나 USB포트와 연결이 중단된 것입니다.
손모양가 검정색 체크가 되어 있으면 공유가되어 있다는 것 입니다. 
 


 
이번에는 손모양이 없다면  공유가 되어 있는 않은 경우이므로 마우스 우클릭하면  [공유]글씨가 보일 것입니다.
공유를 클릭하면 속성창이 나타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타납니다.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와 이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 공유를 사용하려면 [이 프린터 공유]를 클릭
하십시오 Winddows 방화벽이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컴퓨터와 프린터를 공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라디오버튼 [이 프린터 공유]를 선택합니다.
이것을 선택하신후 보시면 프린터에 손모양이 나타나 있을 것입니다.
공유 이름도 적어 주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셧다면 프린터 공유설정 상태가 진행되신 것입니다.
이제는 상대방 공유해 줄 컴퓨터로 이동해 주세요 원래는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등록되지만 문제가 가끔 발생해서
저는 자동으로 잡힌 프른터는 삭제해주고 다시금 프린터를 추가합니다.
* 다른사람 컴퓨터에가서 프린터 및 팩스에서 프린터 추가를 해주어야 합니다.
우측에 프린터 작업/ 프린터 추가를 누르시면 프린터 추가 마법사가 나타납니다.
라이오 버턴 [네트워크 프린터 또는 다른 컴ㅍ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버턴을 누리면
다시 프린터 추가 마법사가 난타고 거기에 라디오 버턴 [프린터 찾아보기]를 체크하시고 다음을 눌러 주세요
그러며 새로운 창이 나타나며 조금전에 공유이름이 나타나는데 그러면 성공한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네트워크공유와 프린터 공유하는 법을 설명드렸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itworldkorea

IT korea가 세상(world)을 변화시킨다.

,